컨텐츠 바로가기

10.18 (금)

"GM사태 충격 큰데 인건비까지"…車부품사 이대로가면 줄도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근로시간 단축 후폭풍 ④ ◆

완성차업체는 이번 근로기준법 개정안으로 인한 근로시간 단축 영향이 제한적이다. 완성차업체 대부분이 주 40시간 근무제(하루 8시간·주간 2교대)가 정착돼 있다. 주 52시간으로 단축된다 해도 영향권 바깥에 놓여 있다. 일반 사무직과 연구직은 7월 이전에 적법한 근무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현황을 파악하며 근무시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는 단계다. 다만 8000여 곳에 달하는 영세 부품기업에는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통상 납품업체 근로자들은 주야 2교대로 하루 10시간 넘게 근무한다. 법 적용까지 3~5년 시간이 남았지만 단축안이 시행되면 주말 특근이나 잔업이 불가능해질 수밖에 없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과 맞물려 기업 수익구조가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감이 제기된다.

300명 이하 사업장이 대부분인 부품업체는 2020년까지 제도 시행이 유예됐지만 한국GM 사태 등 국내 완성차업계 실적 쇼크로 매출 악화가 지속되는 상황이 겹쳤다는 점을 부담 요인으로 꼽고 있다.

추가 고용에 따른 비용 상승까지 더해지면 부품업체의 '줄도산'이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국GM과 20년째 거래 관계를 맺고 있는 A업체 김 모 대표는 "차 부품업체들은 실적 악화를 우려하는 수준을 넘어 언제 사업을 그만둘까를 고민하고 있다"면서 "가뜩이나 수입차에 시장을 빼앗기고 있는 판에 생산비용까지 상승하게 되면 결국 웃는 건 벤츠·BMW가 될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B부품업체 박 모 대표도 올해 사업 규모를 20% 정도 줄이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다. 이미 완성차 판매 둔화로 매출이 크게 줄어든 데다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비용 상승으로 실적 회복도 요원해졌기 때문이다. 연간 1조원의 매출을 올리던 B업체는 올해 1000억원 수준의 매출 하락을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금융권 대출 회수 압박도 거세지고 있다. 희망퇴직 신청을 받고 몸집 줄이기에 나섰지만 이마저도 노조 반발로 쉽지 않다.

박 대표는 "근로시간 단축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이 납품업체로 전이되는 '부정적 낙수효과'가 업계 전반에 확산하고 있다"면서 "삼성·LG·SK 등 주요 대기업을 제외한 회사의 산업 현장은 썩어들어가고 있다는 걸 정부만 모르고 있는 것 같다"고 꼬집었다. 그는 "자동차 산업의 근본 위기가 가시화한 만큼 자동차 산업에는 근로시간 단축을 무기한 유예하는 특례를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품업체 관계자는 "부품업체 부담이 늘어나면 완성차업체도 전체 원가 구조가 악화할 수밖에 없다"며 "결국 대기업을 넘어 소비자에게 원가 부담이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고 꼬집었다.

[강영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