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17 (목)

`국민 행복경영` KB…돌봄교실 1700개 신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KB금융그룹이 2022년까지 750억원을 들여 국공립 병설 유치원과 초등 돌봄교실을 늘린다. 정부 주요 국정과제인 국공립 유치원 취원율 확대와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에 동참하기 위해서다.

KB금융그룹과 교육부는 1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유아교육 및 초등 돌봄체계 발전 지원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KB금융은 이번 MOU를 시작으로 향후 5년간 국공립 병설 유치원 최대 250개 학급, 초등 돌봄교실 1700여 개 신·증설을 지원한다. 교육부와 교육청은 시설 확충이 필요한 지역을 조사해 KB금융과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국공립 유치원은 국공립 취원율이 20% 미만인 지역을 중심으로 학급을 추가하고, 초등 돌봄교실은 기존 교실을 리모델링해 아이들이 놀이와 학습을 동시에 할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하기로 했다.

KB금융은 이 같은 지원을 통해 미취학 아동 5000명이 유치원에 다닐 수 있고, 초등 돌봄교실은 약 3만5000명이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돌봄교실 확대는 경력단절 학부모가 사회에 조기 복귀할 수 있도록 돕고, 교육·돌봄기관 신설로 인한 고용 촉진 효과 등도 예상된다. 한국의 2017년 합계 출산율은 1.05명으로 인구를 현상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인구대체 수준' 2.1명의 절반밖에 되지 않는 역대 최저치다.

KB금융 관계자는 "돌봄 공백 해결을 위한 교육의 공공성 강화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가장 큰 문제로 제기되는 저출산 해결의 시발점이 된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며 "저출산 사회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아쇠(Trigger)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이번 교육 기부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날 협약식에서 윤종규 KB금융 회장은 "대한민국 미래 세대 육성을 이끄는 교육부와 우리 국민의 생활금융 동반자인 KB금융그룹이 초등 돌봄교실과 국공립 유치원을 획기적으로 증설하는 데 함께 힘을 모은다면 자녀 양육으로 인한 경력단절과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곤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교육의 공공성을 강화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으며 KB금융그룹과의 협력을 통해 범사회적 관심과 지원을 형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 부총리는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을 차질 없이 진행해 학부모들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유아교육 초등·돌봄 환경을 구축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업무협약은 KB금융이 사회적 책임 확대를 위해 마련한 'KB 드림스 커밍 프로젝트(Dream's Coming Project)'의 첫 사업으로 진행된 것이다. KB금융은 앞으로 국민과 우리 사회가 체감할 수 있는 변화를 만들기 위해 △사회적 책임 이행 확대 △양질의 일자리 창출 △혁신창업·서민금융 지원 등 3가지 테마를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KB금융은 사회적 책임 이행 차원에서 추진된 교육부와의 MOU에 이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기 위해 그룹 정규직 신규 채용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다. 또 생산적 금융 지원 등 대출과 직간접 투자를 확대해 혁신기업 성장을 위한 생태계 조성에도 나선다.

KB금융 관계자는 "이번 프로젝트로 국민 행복 사회를 지향하는 시대적 변화에 부응하고 모든 국민이 꿈과 희망을 이루는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대한민국 리딩금융그룹으로서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윤종규 회장은 15일부터 나흘간 미국 워싱턴주 시애틀에서 열리는 '마이크로소프트(MS) 최고경영자 서밋'에 참석한다. 그는 이곳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 게이츠, '오마하의 현인' 워런 버핏 버크셔 해서웨이 회장,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최고경영자(CEO) 등과 만나며 혁신적인 디지털 금융 전략을 모색한다. MS CEO 서밋은 전 세계 30여 개국 주요 기업 CEO가 모여 국제 트렌드와 사업 전반에 대해 논하는 자리다. 윤 회장은 올해 한국 기업가 가운데 유일하게 MS CEO 서밋에 참석하게 됐다.

[노승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