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에 바란다]남북대화 단절 후 일자리 감소·통폐합
학생·교수 "남북교류·통일 위해 북한학 전공 인재 필수"
2016년 고려대북한학과비대위 학생들이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고려대학교 북한학과의 개편 반대 피켓 시위를 하는 모습. 2016.2.15/뉴스1 © News1 손형주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이철 기자 = 남북정상회담이 다가오면서 남북간 화해무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그동안 경색됐던 남북관계의 여파로 존폐위기를 맞은 '북한학과' 학생·교수들의 반응도 뜨겁다. 교수들은 통일을 대비해 북한학 전공자들이 늘어나기를, 학생들은 남북교류에 따른 관련 일자리의 증가를 기대했다.
김용현 동국대학교 교수는 25일 <뉴스1>과의 통화에서 "남북간 대화, 교류협력이 축소되면서 북한학과도 상당 부분 부정적 영향을 받은 것은 사실"이라며 "현재 북한학 관련 전공자들의 인력풀이 좁기 때문에 (북한학과가) 좀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어 "북한연구, 통일연구, 동북아 국제정치연구를 포함해 학문적 차원에서 진지한 연구가 학부에서부터 필요하다"며 "남북교류협력이 활성화되면 관련 직종으로 취업도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북한학과는 남북교류 활성화, 통일시대 대비를 목적으로 1990년대 등장했다. 1994년 동국대를 시작으로, 1995년 명지대, 1996년 관동대, 1997년 고려대, 1998년 조선대·선문대 등에 해당 학과가 생겼다. 이에 앞서 1992년에는 숭실대 통일정책대학원이 신설됐다.
그러나 관동대는 계속된 정원 미달로 2006년 학과를 없앴고 선문대는 2008년 북한학과를 동북아학과로 개편했다. 또 명지대는 2010년 정치외교학과로 통폐합했고 숭실대 통일정책대학원도 2006년 사회복지대학원으로 명칭을 바꿨다. 고려대 역시 지난해 1학기부터 통일외교안보전공으로 학과를 개편했다. 현재 동국대만이 '북한학과'의 이름으로 명맥을 유지하는 중이다.
북한학과의 숫자가 줄어든 가장 큰 이유는 취업률의 감소 때문이다. 이명박·박근혜정부의 대북 강경책에 따라 개성공단 폐쇄, 금강산 관광 중단 등 남북대화가 단절되면서 관련 일자리는 줄었다.
고유환 동국대 교수는 "통일 기대감이 컸을 때는 심지어 은행들도 북한에 지점을 낼 것을 대비해 북한학과 출신 인력들을 채용했다"며 "하지만 남북관계 경색 후 (취업이) 잘 안되니 실용학과로 이름을 바꾸거나 통폐합을 진행해 북한학과들이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김규진 동국대 북한학과 학생회장(23)은 "현재 재학생들은 북한학만 전공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학, 정치학, 신문방송학을 복수전공해 진로를 결정하는 편"이라며 "졸업생 선배들의 말을 들어보면 체감상 예전보다 취업이 어려워졌다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교수와 학생들은 이번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교류가 다시 활성화되길 기대하고 있다.
고유환 교수는 "남북간 체제·문화 등이 너무 달라졌다"며 "상대를 알고 교류협력을 하기 위해서라도 북한학은 꼭 필요한 학문"이라고 설명했다.
김규진 학생회장도 "정상회담이 일회성으로 끝나지 않아야 한다"며 "서로간의 소통채널을 늘려가면서 합의한 방안들을 이행하도록 감시하는 시스템의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iron@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