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최근 5년간 정부·지자체 '빅데이터 사업' 40배 증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3년 12건→2017년 447건 급증…'민원·관광·안전분야' 집중

연합뉴스

빅데이터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최근 5년간 중앙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업 수가 대폭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23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13∼2017년 중앙행정기관과 산하 공공기관 43개, 지자체 243곳에서 추진한 빅데이터 분석사업은 모두 782건이었다.

2013년 12건에 불과했던 빅데이터 사업은 이듬해 67건으로 늘었고, 2015년 116건, 2016년 140건으로 소폭 증가하다 지난해 447건으로 급증했다. 조사 첫해인 2013년 대비 40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전체 사업 중 지자체 주도 사업이 472건으로 가장 많았고, 중앙기관 146건, 공공기관 164건이었다.

지자체의 경우 2016년 빅데이터 활용사업이 67건에 불과했지만, 작년에는 329건으로 5배 가까이 늘었다.

사업 분야별로 보면 공공행정(민원)이 236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문화관광 131건, 재난안전 74건, 보건의료 67건, 산업고용 57건 등의 순이었다. 반면 환경기상(8건), 과학기술(18건), 농축수산(20건) 분야는 빅데이터 활용사업이 부진했다.

이 기간 빅데이터 분석사업에 투자된 예산은 총 2천525억원으로 집계됐다.

2013년 110억이었던 예산은 2017년 8배 늘어난 887억원으로 불어났다.

배일권 행안부 공공데이터정책과장은 "국민 관심이 높은 생활 행정과 주민 수요가 많은 지방행정을 빅데이터 분석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활발하다"며 "빅데이터 우수사례를 지속해서 발굴해 일선 현장에서 '데이터 기반' 행정이 정착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eddi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