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서울 풍납토성에서 약 4㎞ 떨어진 경기 하남 감일동에서 백제 최고위층 무덤 수십 기가 나왔다. 22일 하남역사박물관에 따르면 고려문화재연구원은 하남감일 공공주택지구 조성사업부지에서 4세기 중반∼5세기 초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굴식 돌방무덤) 50기를 발견했다. 조사단은 "전국에서 확인된 백제 횡혈식 석실분은 모두 70여 기"라며 "서울 인근에서 이 같이 많은 백제 석실분이 나온 것은 처음"이라고 했다. 학계는 서울 송파구 석촌동과 가락동, 방이동 일대의 고분군이 도시개발과 함께 대부분 파괴된 상황에서 이 고분들이 백제의 역사를 규명하고 복원하는 핵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확인된 횡혈식 석실분은 크게 네 곳에 무리를 이뤘다. 경사면에 땅을 파서 직사각형의 묘광(墓壙·무덤 구덩이)을 만들고, 바닥을 다진 뒤 길쭉하고 평평한 돌을 차곡차곡 쌓아올렸다. 묘광과 돌 사이에는 판축기법(흙을 얇은 판 모양으로 켜켜이 다져 올리는 방법)을 적용했다. 천장은 점차 오므라드는 궁륭식이다. 일부 무덤은 벽을 마감한 회가 남았고, 무덤으로 통하는 길인 연도는 대부분 오른쪽에 있다. 무덤 크기는 묘광이 세로 330∼670㎝, 가로 230∼420㎝다. 석실은 세로 240∼300㎝, 세로 170∼220㎝다. 높이는 180㎝ 내외다. 부장품으로는 풍납토성에서 나오는 토기와 매우 흡사한 직구광견호(直口廣肩壺·아가리가 곧고 어깨가 넓은 항아리)를 비롯해 중국에서 제작된 청자 계수호(鷄首壺·닭머리가 달린 항아리)와 부뚜막형 토기 두 점이 출토됐다. 하남시는 석실분 28기가 밀집한 지역을 역사공원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공원 한편에는 이전·복원할 석실분 15기와 유물을 전시할 박물관이 들어선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