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평화당-정의당 공동교섭단체로 ‘개헌 협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2일 띄우기로…초대 원내대표 노회찬

20석 유지 아슬…손금주 등에 ‘손짓’



한겨레

이용주 민주평화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윤소하 정의당 원내수석부대표가 양당이 공동교섭단체 구성에 합의한 합의문을 발표하기에 앞서, 윤 부대표가 이 부대표의 넥타이를 가르키며 양당의 상징색이 섞여있다고 말하고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평화당과 정의당이 공동 교섭단체의 이름을 ‘평화와 정의의 의원 모임’으로 하고, 첫 원내대표는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맡기로 뜻을 모았다. 두 당은 29일 이런 내용을 담은 ‘잠정 합의문’을 발표하고 각각 당 공식기구에서 추인받은 뒤 다음달 2일 공동 교섭단체를 띄울 예정이다.

협상 과정에서 가장 쟁점이 됐던 초대 원내대표는 정의당 몫으로 정리됐다. 이렇게 되면 노 원내대표는 당장 4월부터 우원식·김성태·김동철 원내대표가 머리를 맞대고 있는 개헌 협상 테이블에 앉게 된다. 교섭단체 원내대표들의 협의체가 국회 헌법개정·정치개혁특별위원회(헌정특위) 위원까지 참여하는 8인 회의로 확대되면 평화당에서 추가로 합류하기로 했다. 노 원내대표의 ‘등록대표’ 임기는 6·13 지방선거까지이고, 선거 뒤 9월 정기국회 개회 전까지는 평화당의 장병완 원내대표가 등록 원내대표직을 이어 맡는다. 공동 교섭단체 운영기간은 20대 국회 임기가 끝나는 시점까지다. 다만 각 당은 언제든 공동 교섭단체를 탈퇴할 수 있다.

두 당은 “각 당의 정체성에 따라 고유의 독자적인 정당 활동”을 하되, “국회 구성 및 운영에 대한 공동대응과 8대 정책과제 공조과제의 실현을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다. 공동 교섭단체가 구성되면 국회 상임위와 상설특위에 간사 몫을 챙길 수 있다. 평화당은 지방선거를 앞두고 당의 입지와 결속을 다질 수 있고, 처음으로 교섭단체 활동을 하게 된 정의당은 선거제도 개혁이라는 숙원을 더욱 강하게 주장할 수 있는 스피커를 얻게 됐다. 이와 함께 두 당은 △한반도 평화 실현 △개헌과 선거제도 개혁 △노동존중 사회 등의 정책에도 힘을 모으기로 했다. 그러나 교섭단체 요건(20석 이상)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는 현재 의석수(평화당 14석, 정의당 6석)은 불안 요인이다. 박지원 평화당 의원이 전남지사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하면, 19석으로 줄어 교섭단체 지위를 잃게된다. 이들이 무소속 이용호·손금주 의원의 합류를 강하게 원하고 있는 이유다. 이용주 평화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저희가 (무소속 의원 2명에게) 오시라고 열심히 설득을 하고 있다. 입장이 좋은 쪽으로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김태규 기자 dokbul@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