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지표에 담긴 ‘팩트’가 새로운 내용인 것은 아니다. 국내 노인 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웃돈 것은 2016년 11월부터였다. 생산가능인구의 감소세 전환 또한 지난해 확인된 구문이다. 이번 지표 앞에서 유난스럽게 호들갑을 떨 일은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탄식이 절로 나온다. 엄중한 경고를 받으면서도 시간과 돈을 헛되이 쓰는 안이한 대응 태세 때문이다.
이번 지표를 보면 결혼을 해야 한다고 여기는 미혼여성은 10명 중 3명에 그친다. 2019년 46.8%에서 2016년 31%로 뚝 떨어졌다. 미혼남성의 인식도 오십보백보다. 생각이 소극적이면 행동도 소극적이게 되는 법이다. 통계청의 전날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결혼은 26만4500건으로, 혼인건수 통계작성이 시작된 1974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혼인건수가 줄면 저출산 난제를 해결할 길도 꽉 막히게 마련이다. 고령화 역시 풀릴 수 없다. 참담한 현실을 이대로 방치하면 미래가 캄캄하다는 뜻이다.
정부는 ‘문재인 케어’를 본격화하는 등 복지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하지만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이어지면 밑 빠진 독에 물을 붓는 격이 될 수밖에 없다. 인구 문제에 보다 면밀히 대처해야 한다. 최우선적으로,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진행되는 인구 변화가 앞으로 어떤 사회적 비용을 요구하게 될 것인지 정밀 분석하고 그 대응 방향을 공론화에 부칠 필요가 있다. 뒷감당 비용부터 따져보고 정책 우선순위를 국민과 함께 전면 조정해야 하는 것이다. 현재의 정책 기조가 최적인지 등은 그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가려질 것이다.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 Segye.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