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지난해 한국 가계 빚 부담 증가속도 세계 최고…GDP 대비 가계부채 94.4%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가계 빚이 경제성장세에 비해 빠르게 증가하며 국내총생산(GDP) 규모에 육박하는 수준까지 올라섰다.

18일 국제결제은행(BIS)에 따르면 한국은 작년 3분기 기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94.4%를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보다 0.6%p(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전년 말(92.8%)에 비하면 1.6%p 뛰었다.

한국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4년 2분기를 시작으로 14개 분기 연속으로 상승했다. 조사대상 43개국 가운데 상승 기간이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길다.

이 기간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2.5%p 치솟았다. 이는 같은 기간을 기준으로 노르웨이(16.1%p)와 중국(14.0%p)에 이어 세 번째로 컸다.

가계부채 비율의 순위도 이 기간 12위에서 7위로 5계단 뛰어올랐다. 한국보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국가는 스위스(127.6%), 호주(120.9%), 덴마크(116.8%), 네덜란드(106), 노르웨이(102%), 캐나다(100.4%)뿐이다.

스웨덴, 영국, 아일랜드, 포르투갈, 뉴질랜드는 한국보다 낮아졌다.

한국은 2014년 대출규제 완화와 기준금리 인하가 동시에 이뤄지며 가계대출 수준이 급격히 높아졌다. 정부는 2014년 8월 주택담보인정비율(LTV)과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규제를 파격적으로 풀었다. 한국은행도 그때부터 다섯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가계신용은 1450조8939조원을 기록했다. 연간 증가 규모는 2013년에는 55조2461억원(5.7%), 2014년 66조2187억원(6.5%)을 기록했다. 2015년(117조8400억원, 10.9%), 2016년(139조4276억원, 11.6%)에는 급증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