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민평당, 정의당에 공동교섭단체 구성 공식 제안...정의당 "검토착수"

댓글 2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민주평화당 의원워크숍. fn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주평화당이 5일 의원워크숍을 통해 공동교섭단체 구성안을 최종 확정하고 정의당에 공식 제안, 국회에 네번째 교섭단체 탄생이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이용주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회의원·핵심 당직자 워크숍이 열린 국회도서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정의당과의 공동교섭단체 구성을 당 차원에서 추진하기로 결정했다"며 "국회 의사결정 구조상 개헌과 선거구제 문제 등에서 우리 당이 소외돼있는 상황이어서 의사결정과정 참여를 위해 공동교섭단체 구성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워크숍에서 양당의 정체성 차이 문제로 이견이 나온데 대해서도 "논의 과정에서는 이견이 있었지만, 의결은 만장일치로 통과됐다"면서 "공동교섭단체는 국회 의사결정과정에 관한 문제로, 각 당의 정체성에 관한 문제는 배제된다"고 설명했다.

민평당 장병완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정의당 노회찬 원내대표를 만나 이같은 당의 공식 입장을 전달하고 향후 양당의 협상 방안 등을 논의했다.

노회찬 원내대표는 민평당의 제안 직후 "민평당의 공식 제안을 정중하게 받아들여 당내에서 논의해보겠다"며 "우선 의원총회를 통해 논의하겠지만, 필요하다면 당원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도 거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양당의 공동교섭단체 구성 협상은 정의당의 내부 의견 수렴이 마무리되면 곧바로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의당 내부에선 당 정체성 문제 등으로 민평당과 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문제에 대해 이견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지고 교통정리 과정에서 교섭단체 구성안이 물거품이 될 가능성도 남아 있다.

양당이 공동교섭단체를 출범시킬 경우 민주평화당 14석, 정의당 6석에 더해 무소속 이용호 의원까지 포함해 21석이 예상된다.

양당의 이같은 합종연횡이 성공하면 원내 4번째 교섭단체가 탄생한다는 점에서 국회 권력 지형도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우선 그동안 여야 원내대표단 협상에도 이들이 4번째 교섭단체로 협상력을 높일 수 있고, 소속 의원들이 각 상임위별 간사로 참여할 수 있어 양당의 시너지 효과는 상당할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정국의 최대 쟁점이 되고 있는 이번 개헌 협상과정에서 교섭단체 파트너로 자체 안을 제시하고 협상을 벌일 수 있다는 점에서 개헌 논의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cerju@fnnews.com 심형준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