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금호타이어 26일 오후 이사회, '법정관리' 신청 여부 결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노조 자구안 협의 거부, 채권단 유동성 지원 대책 철회 우려

뉴스1

전국금속노동조합 광주전남지부 금호타이어지회 소속 조합원들이 지난 1월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산업은행 본점 인근에서 구조조정 저지, 부실 해외 중국공장 매각, 해외매각 재추진 반대를 촉구하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뉴스1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임해중 기자 = 금호타이어가 26일 오후 이사회를 개최하고 법정관리 신청 여부를 결정한다. 해외매각 반대를 이유로 노조가 임금삭감 등이 포함된 자구안 협의를 거부해서다.

차입금 만기 연장(1년), 이자율 인하 등을 약속한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이해관계자 고통분담 없는 지원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법정관리를 결정할 경우 자구안 협의를 거부한 노조 책임론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은행 등 채권단은 금호타이어 회사 정상화를 위해 차입금 1년 만기 연장 및 이자율 인하 등의 지원을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이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시한은 이날까지다.

그러나 채권단은 노사가 자구안 협의 및 이행을 약속하지 않을 경우 유동성 지원 대책을 소급해 무효화할 방침이라는 점을 재차 밝혀왔다. MOU 체결 시한은 이날까지로 노조의 협조 거부로 유동성 지원대책이 끊길 위기에 처했다.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자 사측은 이날 오전 노조와의 교섭을 타진했으나 입장차만 확인하고 결론을 내지 못했다. 노조는 더블스타 등 해외매각에 반대한다며 경영정상화 방안을 담은 노사 합의를 거부했다.

노조 내부 사조직에서는 자구안 합의보다는 법정관리가 더 낫다는 이유로 강경투쟁을 유도하는 목소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은 법정관리 절차를 밟게 되면 대규모 인력조정이 불가피한데 이같은 논리로 투쟁을 유도하는 일은 근로자 희생을 담보로 한 무책임한 도박이라고 지적했다.

금호타이어 노조가 회사 정상화를 위한 고통부담에 동참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자 산업은행 등 채권단 내부에서도 지원이 어렵다는 분위기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법정관리에 따른 인력 구조조정 등 일자리 문제가 우려되지만 이해관계자 고통분담 없는 일방적인 지원은 구조조정 원칙에 어긋난다는 이유에서다.

GM과 한국지엠(GM) 정상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산업은행은 대주주 책임과 노조 등 이해관계자 협조를 구조조정 기본원칙으로 정했다. 이런 상황에서 금호타이어에만 지원을 약속하면 스스로 제시한 구조조정 원칙을 정면에서 부정하는 모습이 될 수 있다.

산업은행이 채권 만기 연장 등 유동성 지원 대책을 철회하면 금호타이어는 당장 1조원이 넘는 돈을 상환해야한다. 만기 연장 대상에 포함된 금액은 1조3000억원가량인데 현재 금호타이어 자금여력에 비춰봤을 때 정상적인 상환이 어렵다.

빚을 갚지 못한 회사는 부도처리 되기 때문에 노사 자구안이 나오지 않으면 이사회는 법정관리 신청을 결정할 수밖에 없다.

경제계 관계자는 "노조 집행부와 사조직이 회사 생사가 달린 자구안 협의를 뒤로하고 매각 반대 투쟁에 먼저 나선 것은 우선순위가 잘못됐다"며 "법정관리 절차에 돌입하면 더 가혹한 구조조정이 시작된다는 점을 감안해 노조가 한발 양보해야할 시점"이라고 꼬집었다.
haezung2212@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