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금호타이어 노사, 경영정상화 합의 난항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사측 “노조 해외 매각반대 이유로 약정서 합의 거부”

노조 “자구안 마련 노력…해외 매각방침 수용 불가”



한겨레

<한겨레>자료사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금호타이어 ‘경영정상화 계획 이행 약정서(MOU)’ 체결 시한이 26일로 다가온 가운데, 금호타이어 사측이 노동조합의 입장 변화를 촉구하고 나섰다. 약정서 체결을 위해서는 노사의 자구안 합의가 필수인데, 노사 양측이 해외 매각 등과 관련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어 이날 약정서 체결은 어려울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금호타이어 사측은 25일 자료를 내어 “채권단이 요구한 경영정상화 계획 이행 약정서 체결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지만, 노조가 해외 매각반대를 이유로 경영정상화 방안에 대한 합의를 거부해 시한 내 약정서 체결이 어려워졌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은 회사의 생존과 지역경제 안정이 최우선 목표가 돼야 하며 눈앞에 닥친 법정관리와 구조조정의 위기를 피하는 게 가장 시급하다”면서 “만약 26일까지 약정서를 체결하지 못하면 노사가 논의했던 경영정상화 방안보다 더욱 가혹한 구조조정안이 노사 모두를 덮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금호타이어쪽은 “(노조가) 사실 확인이 되지도 않은 해외 매각 철회가 전제되지 않으면, 합의 불가를 선언하는 것은 사실상 경영정상화를 포기하고 법정관리를 선택한 것이나 다름없다”며 “회사와 직원, 지역 경제를 더 큰 위기로 내모는 무책임하고 위험한 태도”라고 지적했다.

반면, 금호타이어 노조는 그간 해외 매각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여왔다.

노조는 “지난 1개월 동안 휴일, 밤낮을 가리지 않고 노사협상을 통해 교섭을 진행했고, 임금동결 및 상여금 반납 등을 포함한 고통분담에 참여하는 자구계획안 마련에 노력했다”면서 “성실한 협상을 무력화시키는 채권단과 회사의 더블스타로 매각방침을 수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자구계획안 체결까지 남은 시간 동안 회사와 협력업체, 지역경제를 포함한 전 구성원의 생존권과 미래를 위해 진정성 있고 책임 있는 자세로 협상에 임할 것”이라며 “채권단과 회사는 더블스타로 매각과정을 중단하고, 노사 합의를 통해 경영위기를 극복하고 경영정상화를 달성해 나가기를 적극적으로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금호타이어 노사는 26일까지 자구안 합의서를 제출하지 못하면 채권단이 1년간 상환 연장해 준 차입금 1조3천억원을 갚아야 한다. 이 경우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등 경영정상화 후속 절차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박수진 기자 jjinpd@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사람과 동물을 잇다 : 애니멀피플] [카카오톡]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