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윤 대통령 “북-러 조약 시대착오적” 비판…강대강 대응 방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25일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 참전영웅 초청 위로연’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25일 6·25전쟁 기념식에서 “(북한이) 역사의 진보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행동을 한다”고 비판하며 “더욱 굳건하고 강력해진 한-미 동맹을 토대로 자유와 평화를 더욱 단단하게 지켜갈 것”이라고 말했다. 북·러가 정상회담 뒤 동맹 수준을 회복하며 한반도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강 대 강’ 대응 기조를 되풀이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6·25전쟁 74주년 기념식’에서 “우리가 자유와 번영의 길을 달려오는 동안에도, 북한은 퇴행의 길을 고집하며 지구상 마지막 동토로 남아 있다”고 말했다. 그는 “주민들의 참혹한 삶을 외면하고 동포들의 인권을 잔인하게 탄압하면서, 정권의 안위에만 골몰하고 있다”며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여전히 핵과 미사일 능력을 고도화하여 끊임없이 도발을 획책하고 있다”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겨냥했다.



윤 대통령은 남쪽 탈북민 단체의 대북 전단에 대한 대응으로 북한이 오물 풍선을 살포하는 것에 대해 “비열하고 비이성적인 도발을 서슴지 않고 있다”고 비판하고, 북한이 러시아와 맺은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 조약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군사·경제 협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역사의 진보에 역행하는 시대착오적 행동이 아닐 수 없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한-미 동맹’과 ‘강력한 힘에 의한 평화’를 앞세워 강 대 강 대응 방침을 이어갈 것이라고 했다.



그는 “북한의 도발에 압도적으로,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70주년을 맞아 더욱 굳건하고 강력해진 한-미 동맹을 토대로, 자유의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과 연대해 우리의 자유와 평화를 더욱 단단하게 지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평화는 말로만 지키는 것이 아니다. 강력한 힘과 철통같은 안보태세야말로 나라와 국민을 지키고, 이 땅에 진정한 평화를 이룩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지난 현충일 추념사에 이어 이날도 ‘흡수통일’을 연상시킬 수 있는 ‘통일 대한민국’이란 표현을 썼다. 그는 “우리가 더 강해지고 하나로 똘똘 뭉치면 자유와 번영의 통일 대한민국도 결코 먼 미래만은 아닐 것이다”라고 했다.



윤 대통령이 6·25 기념식에 참석한 것은 취임 뒤 처음이다. 이전 정부에서 6·25기념식은 주로 국무총리가 참석하는 행사였고, 윤석열 정부에서도 2022·2023년엔 한덕수 총리가 참석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최근 (북-러 밀착 등) 한반도 정세 등을 고려했고, 보훈과 안보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윤 대통령이) 참석했다”고 했다. 아울러 6·25 기념식은 지금껏 서울에서 열렸는데 “지방 거주 6·25 참전유공자의 정부 행사 참여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광역별 순회 행사로 추진한다”는 국가보훈부의 방침에 따라 이번엔 대구에서 열렸다. 윤 대통령은 기념식 뒤 부인 김건희 여사와 함께 참전유공자 60여명을 초청해 위로연을 했다.



그러나 윤 대통령의 기념사가 반공과 이념, 미국 중심의 가치 외교라는 기존 메시지를 재확인하면서 신냉전 구도를 강화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고유환 동국대 명예교수(전 통일연구원장)는 “북-러 정상회담으로 균형적 실용외교 전환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는데 6·25 기념사에서 미국 중심 규칙 기반 외교로 가야 한다는 인식을 반복적으로 드러냈다”며 “한국이 신냉전 질서에 앞장서고 있다”고 말했다. 최민석 더불어민주당 대변인은 “윤석열 정부는 북한과 강 대 강 대치만을 이어가며 한반도를 군사적 긴장 속에 스스로 밀어 넣고 있다”고 논평했다.



이승준 권혁철 기자 gamja@hani.co.kr



▶▶권력에 타협하지 않는 언론, 한겨레 [후원하기]
▶▶한겨레 뉴스레터 모아보기▶▶오직 한겨레에서 볼 수 있는 보석같은 기사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