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D-1, 금호타이어의 운명은?…해외매각 철회 vs 노사자구안 합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금호타이어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채권단이 제시한 시한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채권단은 노사가 자구안에 합의하지 않으면 법정관리까지 가겠다는 방침이지만 노조는 중국 '더블스타'로의 매각을 먼저 철회해야 자구안에 합의하겠다고 나서면서 간극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다.

25일 채권단 등에 따르면 금호타이어는 오는 26일 이사회를 열고 채권단과 경영정상화계획(자구안) 이행을 위한 약정서(MOU) 체결을 의결할 예정이다.

전제조건은 자구안에 대한 노사합의다.

자구안은 ▲경쟁력 향상 방안(생산성 향상·무급 휴무·근무형태 변경 등) ▲경영개선 절차 기간 임금동결 ▲임금체계 개선(통상임금 해소) 및 조정(삭감) ▲임금 피크제 시행 ▲복리후생 항목 조정(폐지·중단·유지) ▲불합리한 제도와 관행 개선 등을 담고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금호타이어가 경쟁력 있는 기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선 모든 이해당사자의 고통분담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며 "특히 경쟁사 대비 낮은 생산성을 개선하기 위해 인건비 등 비용절감을 포함한 노조의 자구계획은 최소한의 필요조건"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노조는 더블스타로의 매각 방침 철회가 먼저라는 입장이다.

노조는 지난 24일 특별결의문을 내고 "산업은행과 채권단이 추진하는 중국 더블스타 재매각 추진에 대해 즉각 중단해야 한다"며 "더블스타로의 해외매각이 철회되지 않는다면 26일 제출하기로 한 금호타이어 경영정상화 자구계획안 제출을 거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노조는 "산업은행과 채권단은 이미 쌍용자동차, GM자동차 국내공장 철수와 군산공장 중단사태를 보면서도 또 다시 지역민의 80%가 반대하고 전 구성원이 결사반대한 중국 더블스타로의 매각을 추진, 경영진과 채권단에 대해 배신감과 분노를 금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산업은행은 매각과 관련해 확정된 방안은 없다며 선을 긋는 모양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채권단은 금호타이어의 경영정상화를 위해 외부자본유치를 포함한 실행 가능한 모든 방안에 대해 검토를 하고 있지만 자구안 합의와 외부자본 유치는 별개의 사안"이라고 밝혔다.

26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최악의 시나리오는 법정관리행이다.

채권단은 자율협약 체제에 들어간 금호타이어의 채권을 1년 연장해 주는 대신 약정서 체결을 조건으로 달았다. 약정서가 체결되지 않으면 만기 연장안은 효력이 상실된다. 이미 노사합의가 안 되면 만기를 연장하지 않고 후속 절차를 시작하겠다는 공문을 금호타이어에 보낸 것으로 전해졌다.

노조는 "5년간의 워크아웃(기업 재무구조 개선작업) 고통을 참아가며 지금까지 경영정상화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했지만 채권단은 26일 채권단협의회 이사회 개최를 앞두고 노사가 자구안을 제출하지 않으면 법정관리를 신청하겠다고 협박했다"고 밝혔다.

안상미 기자 smahn1@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