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해수부, 총 590억 원 투입→바다숲 3,108ha 신규 조성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종=국제뉴스) 노충근 기자 = 해양수산부와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은 "올해 590억 원의 예산을 투입, 바다목장 5개소와 바다숲 3,108ha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해양수산부는 기후변화와 무분별한 남획 등으로 황폐해져가는 연안 생태계를 복원하고 수산자원을 회복시키기 위해 매년 해역별 특성을 반영한 수산자원조성사업을 시행해 오고 있다.

올해에는 국정과제 ‘깨끗한 바다, 풍요로운 어장’과 관련하여 ① 바다숲 조성ㆍ관리, ② 수산자원 증대(연안바다목장 조성), ③ 수산종자 자원관리, ④ 총허용어획량 제도 운영, ⑤ 불법어업 방지시설 설치 등 5개 분야로 나누어 사업을 추진한다.

◆ 바다 숲 조성ㆍ관리

2009년부터 추진된 바다숲 조성사업은 갯녹음현상으로 사막화돼 가는 바닷속에 해조류ㆍ해초류를 직접 심거나, 바다숲을 보호ㆍ보전해 생물다양성을 높이고 연안생태계를 복원하는 사업이다.

올해에는 동ㆍ서ㆍ남해 및 제주 해역에 총 20개소, 3,108ha 규모의 바다숲을 새로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다시마ㆍ감태ㆍ잘피 등을 적극 활용하여 바다숲의 자생력과 생물다양성을 높이는 한편, 어업인 소득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한다.

◆ 연안바다목장 조성

2006년부터 추진된 연안바다목장 조성사업은 우리나라 바다에 인공적으로 물고기가 모여 살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으로, 지난해까지 30개소를 조성하였다.

올해에는 고갈ㆍ감소 위기에 처한 수산자원을 회복시키고 어업인 소득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바다목장 5개소를 새롭게 착공한다.

각 바다목장별로 인공어초를 활용하여 어장기반을 조성하고, 지역별 특색에 맞춘 주요 수산자원 방류 및 모니터링 등을 5년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중 안산 풍도에 조성되는 바다목장에는 낚시 등을 즐길 수 있는 체험장을 조성하여 수도권 관광객 유치도 추진한다.

◆ 수산종자 자원관리

유전적 다양성이 확보된 건강하고 안전한 바다생태계 유지를 위해 2016년부터 추진한 넙치에 대한 방류종자인증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주요 방류종자에 대한 유전적 다양성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모니터링 대상을 10종으로 확대한다.

◆ 총허용어획량 제도 운영

99년부터 꾸준히 추진한 '총허용어획량(TAC, Total Allowable Catch) 제도'를 11개 주요 품목에 대해 운영하여, 과도한 어획을 제한하고 수산자원 보전에 노력할 계획이다.

또한, 정부의 일자리 창출 기조에 맞추어 총허용어획량 조사 및 어획 수산자원의 생물학적 조사를 담당하고 있는 수산자원조사원(현 70명) 15명을 추가 채용하여 수산자원의 관리 및 조사인력을 확충한다.

◆ 불법어업 방지시설 설치

중국어선 불법조업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격렬비열도 주변 해역에 불법어업을 방지하기 위한 특수 구조물을 추가로 설치한다. 작년에는 해당 구조물을 20km 가량 설치해 중국어선 출현 감소 및 꽃게 어획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거둔 바 있다.

해양수산부는 이 외에도 동해대게 자원회복을 위해 영덕, 울진 등에 어초를 설치하여 어린 대게의 보육장을 마련하고, 보령(주꾸미), 기장군(말쥐치), 동해시(대문어) 등 회복이 필요한 수산자원의 산란장ㆍ서식장 조성 사업 등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최완현 해양수산부 어업자원정책관은 "수산자원회복은 우리바다 되살리기를 실현하고 소득주도형 성장을 이루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과제"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