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9.29 (일)

[분수대] ‘대우 3형제’의 방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현상 논설위원


외환위기 여파로 시중 자금줄이 꽉 막혀 버린 1998년 11월, 김우중 대우그룹 회장은 김대중(DJ) 대통령을 만나 지원을 호소했다. 환율이 2배로 뛴 상황. 돌멩이도 수출할 수 있다며 수출금융만 열어 주면 무역흑자 500억 달러가 가능하다고 역설했다. 하지만 DJ는 꿈쩍하지 않았다. 강봉균 경제수석이 면담 며칠 전 올린 ‘대우그룹 지원 불가’ 보고서가 DJ의 마음을 닫았다. 사실상 김우중 회장의 운명은 이날 결정됐다. 대우는 결국 이듬해 8월 워크아웃 결정으로 해체되고 만다. 당시 경제관료와 사이가 나빴던 김우중 회장 측은 이 일화를 내세우며 ‘대우 기획 해체설’을 주장하고 있다. 물론 과도한 차입과 방만한 경영이 근본적 원인이었다는 시각이 더 일반적이긴 하다.

그룹이 해체되며 시장에 나왔던 옛 대우 3형제, 한국GM(옛 대우자동차)·대우조선해양(옛 대우중공업 조선 부문)·대우건설이 아직도 자리를 못 잡고 있다. 시장이 좋을 때는 정상을 찾는다 싶더니, 20년 세월을 돌고 돌아 다시 우리 경제의 아킬레스건이 될 태세다. 한국GM은 일자리를 볼모로 정부 지원을 압박하고 있고, 대우조선해양은 공적 자금으로 버티고 있다. 대우건설도 예기치 못한 부실이 튀어나오면서 주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하나같이 매각 과정이나 회생 과정에서 막대한 국민의 돈이 들어간 곳들이다. 한번 엉클어진 경제 문제의 그늘이 이렇게 길고 짙다. 역사에서 가정법은 없다지만 김우중식 해법의 결과는 어땠을까 하는 궁금증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성공했다면 외환위기 극복 과정에서 우리 국민이 겪었던 고통이 조금이나마 줄어들었을까. 부실기업의 대주주 혹은 주요주주가 된 산업은행이나 그 뒤에 있는 정부의 못 미더운 관리 솜씨를 보면 더욱 그런 생각이 든다.

DJ와 김우중 회장이 만나기 딱 한 달 전 일본계 노무라증권은 ‘대우에 비상벨이 울리고 있다’는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가 발표되자 국내외 금융기관이 자금 회수에 나서면서 결국 대우는 회복 불능 상태가 됐다. 경고가 아니라 자기실현적 예언이 되고 만 것이다. 경제에서 벨이 울릴 정도가 되면 이미 손 쓸 수가 없다는 역설이기도 하다. 지금 한국 경제를 둘러싼 상황이 심상찮다. 바다 건너에서는 지나치게 높은 집값과 주가를 걱정하며 풀린 돈을 슬슬 거둬들인다. 하지만 우리는 1400조원의 가계부채 위에 앉아서도 태평하다. 아직 펀더멘털은 괜찮다고 되뇌던 외환위기 전 상황이 떠오른다. 벨 소리가 들리면 이미 늦었다.

이현상 논설위원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