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몸 따로 마음 따로' 바른미래당 비례대표 3인 눈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국회의원 의석수 30석의 제3당으로 출범한 바른미래당에서 비례대표인 박주현·이상돈·장정숙 의원의 '몸 따로 마음 따로' 행보가 눈길을 끕니다.

정치권에 따르면 이들은 국민의당 분당 사태 당시 바른정당과의 통합에 공개적으로 반대하면서도 국민의당 당적을 유지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는 비례대표 의원이 강제 출당이 아닌 자진 탈당할 경우 의원직을 상실한다는 공직선거법 규정 때문입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이 통합해 바른미래당을 창당하면서 이들 3명의 당적은 자연스레 바른미래당으로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통합반대파가 만든 민주평화당 연석회의는 물론 민평당의 주요 행사에도 꼬박꼬박 참여하면서 독자 행보를 노골화하고 있습니다.

이에 민평당은 바른미래당에 이들 3명의 출당을 지속해서 요구하는 동시에 당적은 다르지만, 이들에게 주요 당직을 맡기는 방안까지 유력하게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민평당은 창준위 단계에서부터 당헌에 '비당원 특례조항'을 둬 당적이 없는 사람이나 다른 당적을 가진 사람도 민평당의 당직을 맡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 다른 비례대표 박선숙 의원 역시 국민의당 시절 맡았던 국회 정무위 간사직을 던진 채 바른미래당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낸 상탭니다.

자유한국당 비례대표 김현아 의원도 지난해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정국 당시 한국당 전신인 새누리당 내 '비박' 계가 탈당해 바른정당을 창당할 때 동조 의사를 표시했고, 이후 바른정당 행사에도 직접 참석했습니다.

이처럼 비례대표의 당적을 둘러싼 논란이 일면서 정치권 일각에서는 비례대표 의원의 발을 묶는 현행 공직선거법의 개정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이세영 기자 230@sbs.co.kr]

☞ [다시 뜨겁게! 2018평창 뉴스 특집 사이트] 올림픽을 더 재미있게!
☞ [나도펀딩×SBS스페셜] 소년은 매일 밤 발가락을 노려보며 움직이라 명령합니다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