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광명·목포·하동 등에 도시재생 사업...모두 68곳 선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앞으로 5년 동안 총 50조 원이 투입되는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 첫 대상지 68곳이 최종 선정됐습니다.

경기도가 수원, 안양, 광명 등 8곳으로 가장 많고,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서울 지역은 제외됐습니다.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차유정 기자!

시범사업 대상지 소개해주시죠.

[기자]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은 철거 위주의 재개발과 달리 주택 개량과 각종 기반시설 설치를 통한 거주 환경 개선에 초점을 둔 정부 핵심 정책입니다.

그 시범사업 대상지가 모두 69곳으로 선정됐습니다.

경기도가 안양, 남양주 등 총 8곳이 뽑혀 최다 지역으로 선정됐으며, 전북과 경북 경남이 각 6곳 뽑혀 뒤를 이었고, 제주와 세종이 각각 2곳 한 곳 선정됐습니다.

다만 부동산 가격 급등을 우려해, 전 지역이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서울은 이번 명단에서 제외됐습니다.

개발 방식이 다양한데 주택 개량을 통한 거주 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사업이 대표적입니다.

경기도 광명시는 무허가 건축물 밀집 지역과 상습 침수 대상을 개량해 공공임대주택 284호를 조성할 예정입니다.

전남 목포시는 3백여 개에 이르는 근대 건축물을 활용해 역사 체험 길을 조성하고, 경남 하동은 폐 철도공원 등을 다시 꾸며 지역 관광사업을 활성화한다는 계획입니다.

이번에 유일한 경제기반형 사업으로 선정된 경남 통영은 폐 조선소 부지들을 활용해 문화·관광 해양 산업 거점으로 탈바꿈한다는 계획입니다.

지진 피해가 입은 포항시 홍해읍은 내년 특별재생지역으로 지정돼 재생 사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사업에는 5년간 총 50조 원, 연평균 10조 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한 해 단위로 보면 재정이 2조 원, 기금 4조 9천억, 나머지 3조 원가량은 공기업에서 투자하는 형태입니다.

정부는 내년 초까지 뉴딜 사업의 구체적인 정책 과제나 중장기 계획 등을 담은 도시재생 뉴딜 로드맵을 마련한다는 방침입니다.

지금까지 경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동영상 뉴스 모아보기
▶YTN과 친구가 되어주세요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