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초등 돌봄 해결하려 수업시수 확대? 학생·교사 부담만 커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재철 교총 대변인, 초등 돌봄 강화 '반대'

"수업 늘리는 건 미래 인재상 논의에 역행"

"방과후 학교 확대, 학교 교육 취지에 반해"

'지자체 주도로 공공 돌봄 시설 확충' 강조

중앙일보

서울 시내 한 초등학교 저학년생이 홀로 하교하고 있다. 김선영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을 둔 맞벌이 부모는 학교 수업이 끝난 후 아이를 믿고 맡길 곳이 마땅치 않다. 대다수가 어쩔 수 없이 학원을 전전한다. 학교에서는 이런 학생을 위해 정규 수업이 끝난 후 돌봄 교실과 방과후 학교를 운영하지만 수요를 감당하기엔 역부족이다.

학부모들은 "초등학교가 정규 수업 시간을 늘리고 방과후 학교를 강화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하지만 교사들은 "돌봄 문제의 대안으로 수업시수를 늘리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며 반대한다. 다음은 김재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과의 일문일답.

중앙일보

김재철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Q : 수업시수 확대를 요구하는 학부모가 많다.

A : 수업시수를 확대하면 학습량·수업량이 늘어난다. 학생은 학업 부담, 교사는 수업 부담이 커진다. 수업시수 확대는 현재 논의되는 미래 인재상·교육상과 맞지 않는다. 가능한 수업시수를 줄여 아이들의 육체적·정신적 부담을 줄여주자는 게 중론이다. 교과보다는 놀이나 체험 중심의 교육과정을 통해 아이의 적성을 찾아주고 소질을 키워주자는 것이다. 단순히 돌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업시수를 확대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 수업시수를 확대하려면 교육학적으로 많은 연구와 분석이 필요하다.




Q : 한국의 수업시수가 OECD 주요국에 비해 짧은 편인데.

A : 수업시수를 단순 비교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우리나라 교사는 정규 수업시수를 소화하는 것 외에 하는 일이 많다. 수업 연구는 기본이고 행정 처리, 생활지도 등 부가적인 업무가 많아 지금도 힘들어한다. 수업시수가 확대되면 그만큼 교사 업무가 배가된다. 수업시수 확대에 따른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Q : 방과 후 학교를 강화하는 건 어떤가.

A : 방과 후 교육 활동은 저소득층·고소득층 학생 간 사교육 격차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나온 정책이다. 쉽게 말하면 학교에서 사교육을 하는 것이다. 본래 학교 교육 취지와 맞지 않는다. 방과 후 교육의 규모가 커지면서 운영에 따른 행정 절차도 많아졌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방과 후 교육 담당 부장 교사를 따로 둔다. 학생·학부모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만족도 조사를 하는 곳이 많지만 여전히 민원에 시달린다. 강사 수급과 공간 확충, 시간 부족 등 한계가 있다.




Q : 정규 교사가 방과 후 교육을 담당할 순 없나.

A : 교사가 정규 수업을 끝낸 후 방과 후 수업까지 도맡아 하긴 힘들다. 더구나 방과 후 교육 프로그램 대부분이 피아노·플루트·로봇 등 특기 적성 분야다. 외부 전문 강사가 하는 게 맞다. 그러나 외부 강사를 섭외하는 일도 만만치 않다. 학생과 직접 어울려 생활하기 때문에 검증이 필요하다.




Q : 초등학생 돌봄 문제의 대안은 뭔가.

A : 현재 초등학교에는 교육과 보육이 혼재돼 있다. 보육은 지자체가 나서야 할 문제다. 지자체에서 주도적으로 공공 돌봄 시설이나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 그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학교가 보조적인 역할을 하면 된다. 지금은 주객전도 됐다. 보육에 초점을 맞춘 다른 방안을 강구할 시점이다. 정부는 예산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보육 시설을 확충해야 한다.
중앙일보

그래픽=김영옥 기자 yesok@joongang.co.kr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선영 기자 kim.sunyeong@joongang.co.kr

▶모바일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카카오 플러스친구] [모바일웹]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