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스티븐 추 前 美에너지부 장관 "文정부 탈원전 재고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첨부/스티븐 추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


2060년까지 '원전제로' 정책 "불가능해"

【서울=뉴시스】이종희 기자 = 스티븐 추(Steven Chu) 전 미국 에너지부 장관은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탈원전 정책에 대해 "재고해 봐야 한다"고 23일 주장했다.

스티븐 추 전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소공동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통해 "기후변화에 끼칠 영향 때문에 문재인 대통령을 설득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문 대통령이 2060년까지 신재생에너지로 전력을 100% 수급하는 '원전제로'에 대해서도 "불가능하다. 원한다고 다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니다"며 "지금 현재 한국의 자원을 보면 50%를 전환하는 것도 어려울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독일과 미국 캘리포니아 주의 상황을 예로 들며 "탈원전을 했다고 바로 재생에너지로 넘어가지 않았다. 에너지 효율성이 높아진 것도 아니다"며 "그로 인해 화석연료를 더 많이 태워 환경오염만 늘어났다. 이것은 역사적인 기록이고 예측 가능한 결과"라고 꼬집었다.

그는 특히 독일을 한국과 비교하며 "독일 산업에 피해가 크다. 이산화탄소 배출에도 문제가 생겼다"며 "독일 석학들은 정치적인 결정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래를 고려하지 않은 결정"이라며 "한국이 같은 발자국을 따라가길 원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오히려 "기후과학자들 중에서도 원전이 석탄보다 낫다고 하는 주장도 나온다"고 말했다.

그는 체르노빌, 쓰리마일섬,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언급하며 "원자력이 안전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원전 사고를 통해 안전을 강화한 측면을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도 쓰리마일섬 이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사고를 대비하고 있다"며 "한국도 이런 방향으로 나아가길 바란다"고 부연했다.

스티븐 추 전 장관은 중국계 미국인으로 1976년 미 캘리포니아 버클리캠퍼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친환경 미래 에너지 전문가다. 1997년 레이저를 이용해 원자를 냉각·분리하는 연구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2008년 대선에서 당선된 직후 평소 신에너지 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을 주장해온 그를 에너지부 장관으로 임명했다. 현재는 스탠포드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2papers@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