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밀착카메라] 포항 수험생들, 여진 공포 속 '고난의 1주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JTBC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앵커]

지진 피해로 연기된 수능 시험이 이제 12시간 뒤면 치러집니다. 전국의 모든 수험생들이 마찬가지였겠지만 특히 포항지역 수험생들은 계속되는 여진 공포에, 대피소 생활에, 혼란스러운 일주일을 보냈습니다.

밀착카메라 김도훈 기자입니다.



[기자]

지진에 놀란 학생들이 뛰쳐나오는 순간, 건물 입구 외벽이 쩍쩍 갈라집니다.

건물 외벽이 무너져 내린 또 다른 학교는 교정 화단에 벽돌 잔해가 가득합니다.

지난 15일 경북 포항에서 규모 5.4 지진이 일어났을 당시 수능을 하루 앞두고 수험생 예비 소집 교육이 한창이었습니다.

[이채영/수험생 : 강당에 2층에서 건물이 다 떨어져가지고 급하게 밖으로 대피했었어요.]

[이나영/수험생 : 예비소집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강당이 흔들리면서 전부 다 소리 지르고 울고…]

[한태양/수험생 : '콰콰쾅'이러면서 흔들려서 엄청 놀랐죠. 다 뛰쳐나왔죠.]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본 포항 고등학교 입니다.

당초 수험생 560여 명이 이곳에서 수능 시험을 치르기로 예정돼 있었는데요.

정부의 두차례 정밀 점검에서 구조적인 위험은 없다고 결론이 났지만, 진앙지에서 가까워 수험생들에게 심리적 불안감을 줄 수 있다고 판단해 고사장에서는 제외됐습니다.

포항지역 수능 고사장 전체 14곳 중 지진 피해가 상대적으로 심한 학교 4곳은 남부지역으로 고사장이 변경됐습니다.

4개 학교에서 수능 시험을 칠 예정이던 수험생은 2000여 명. 포항 지역 전체 수험생의 1/3이 새로운 곳에서 시험을 봐야합니다.

일부 학생들은 지진 이후 어수선한 대피소 생활을 하며 시험을 준비했습니다.

살던 집이나 교실 출입이 통제됐기 때문입니다.

지진 발생 이틀 뒤 관련 기관에서 파악한 피해 수험생은 85명에 달합니다.

[포항교육지원청 관계자 : 일단 숙소가 안 되고 공간이 없는 학생이 7명, 여건이 안 돼서 공부할 공간이 없는 학생이 78명. 도서관 개방시간을 연장해서 전용 학습실을 마련…]

포항시가 지역 숙박업소나 기업체와 연계해 숙식문제에 어려움을 겪는 수험생에게 숙소를 제공하면서 지난 주말부터는 형편이 조금 나아졌습니다.

이곳은 포항 시내의 한 대형 숙박업소입니다. 양쪽 복도를 따라 수험생 14명의 가족들이 이곳에 머물고 있는데요. 이재민 대피소 생활을 하는 수험생들을 위해서 아예 한 층을 통째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며칠을 낯선 환경에서 여진의 공포와 싸워가며 지냈지만 조금씩 안정을 찾아가고 있습니다.

[손문주/수험생 : 못 챙겨 나온 것들 집에도 아직 남아있어요. (붕괴 우려로) 폴리스 라인 쳐놓았다고 해서 못 들어가는 상황이에요. 구호물품 상자를 책상으로 쓰면서 주변환경도 익숙하지 않고 여진 언제 날지도 모르고 불안해서…]

공부할 곳이 없어진 수험생들을 위해 포항 지역 공공도서관 6곳도 수험생 전용 학습실을 마련해 밤 10시까지 연장 운영했습니다.

하지만 수능 연기 결정 직후 인터넷과 소셜네트워크에 쏟아진 비난 글들은 아직도 마음에 상처로 남아 있습니다.

[이소은/수험생 : (지진) 피해는 저희가 낸 게 아니라 저희가 입은 건데, 거기에 대해서 욕을 하시는 댓글을 보고 좀 속상했어요.]

[김준현/수험생 : '너희들 때문에 수능 일주일 연기됐지 않냐' 이런 식으로 부정적인 댓글 다는 걸 보면 왜 저러나 싶기도 하고 기분이 많이 상하죠.]

지난 10일, 당시 수능을 앞두고 포항에 온 울릉도 수험생 34명은 예상치 못한 지진 피해로 2주째 군부대 회관에서 숙식을 해결하고 있습니다.

[김지환/울릉도 수험생 : (수능이) 연기된 상태에서 1주일치 옷을 가져왔는데, 옷들을 세탁하고 그런 과정이 많이 불편했었어요.]

포항 지역 올해 수능 응시생은 6000여 명으로 전체의 약 1%를 차지합니다. 수험생들은 어느 때보다 힘들었던 마지막 일주일이 좋은 결과로 이어지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김도훈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