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벌어도 벅찬 빚'…가계부채, 연소득 1.5배 넘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가구당 금융부채 4천686만원…4년새 27% 급증

우리나라 가계가 짊어진 빚이 처분가능소득의 1.5배를 넘어섰습니다.

한국은행이 23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이언주(국민의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연간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55.0%입니다.

처분가능소득은 가계가 임의로 소비나 저축으로 처분할 수 있는 소득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가계가 한 해 동안 모은 소득을 꼬박 저축하더라도 가계부채의 3분의 2 정도밖에 갚을 수 없다는 얘기입니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2014년 말 136.4%, 2015년 말 142.9%, 2016년 말 153.4% 등으로 꾸준히 높아졌습니다.

가계부채가 소득 증가보다 훨씬 가파른 속도로 늘었기 때문입니다.

가계부채 증가율은 2014년 6.5%에서 2015년 10.9%, 지난해 11.6%로 높아졌습니다. 올해도 1분기에 전년 동기대비 11.1%, 2분기에 10.4%로 각각 두자릿수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처분가능소득은 상승률이 5%대 안팎에 머물고 있습니다.

2014년 4.6%에서 2015년 5.8%로 올랐다가 지난해 4.0%로 떨어졌고 올해는 1분기 4.9%, 2분기 4.6%로 파악됐습니다.

가계의 실질소득 증가가 더딘 상황에서 저금리 장기화, 부동산 시장 호조 등의 영향으로 빚이 눈덩이처럼 불어났습니다.

앞으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면 가계의 부채 부담은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나라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는 4천만원을 훌쩍 넘었습니다.

한국은행이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두관(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작년 3월 말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는 4천686만원입니다.

2012년 3천684만원과 비교하면 4년 사이 27.2%(1천2만원) 늘었습니다.

이는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이 전국 2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가계금융·복지조사를 분석한 수치입니다.

소득분위별로 보면 5분위(상위 20%)의 가구당 금융부채가 1억902만으로 가장 많았고 4분위(상위 20∼40%)는 5천482만원, 3분위(상위 40∼60%)는 3천966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또 소득 2분위(하위 20∼40%)는 평균 2천295만원, 1분위(하위 20%)는 786만원으로 파악됐습니다.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