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2017 뉴시스 조찬 금융포럼]김현호 "데이터 대폭발의 시대…빅데이터가 시장 판도 뒤흔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뉴시스 금융포럼에서 인사말하는 김현호 대표이사


뉴시스

뉴시스 금융포럼, 인사말하는 김현호 사장


뉴시스

뉴시스 금융포럼, 김현호 대표이사 인사말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김현호 뉴시스 사장은 26일 "어마어마한 규모로 축적되는 빅데이터는 시장의 판도를 뒤흔들 것이 자명하다"며 금융권의 빅데이터 활용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사장은 이날 오전 서울 소공동 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17 뉴시스 조찬 금융 포럼 - 빅데이터가 바꾸는 금융, 그리고 세상'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며 "기업 및 금융기관 운영에서부터 암 치료와 전쟁 양상, 테러 저지, 나아가 우주의 기원을 밝히는 분야에까지 일하는 방식을 획기적으로 바꿔놓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4차 산업혁명의 거대한 물결 속에 모든 것이 온라인화, 디지털화하면서 우리는 지금 '데이터 대폭발의 시대'에 살고 있다"며 "당장 빅데이터의 활용을 고민하고 경쟁력 향상의 발판으로 삼지 않는다면 머지않아 뒷감당이 어려운 상황을 맞을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사장은 "이런 거대한 변화에 금융도 예외일 수 없다. 아니 세상의 변화를 더 정확히 직시해야 금융이 온전히 세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금융은 지금 인공지능(AI), 블록체인과 같은 정보기술(IT)과 결합해 핀테크라는 새로운 산업으로 진화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디지털 혁신은 은행업, 보험업, 증권업 등 모든 금융업권에서 생존을 위한 필수 과제가 됐다"며 "빅데이터 활용은 금융회사가 소비자 집단의 성향이나 서비스 이용 동기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고객의 신용정보 뿐만 아니라 비재무적 정보까지 활용해 더욱 정교한 신용도 평가 모델을 구축하는 데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예상했다.

김 사장은 "하지만 빅데이터의 시대로 나아가는 과정에서 우리가 풀어야 할 과제들도 적지 않다"며 "빅데이터 활성화를 위해서는 여러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를 연계하는 작업이 필수적이지만 현행 규제 체계상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게 사실"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또 각종 제도를 정비하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유출이나 보안사고에 대한 우려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찾는 논의도 이뤄져야 한다"며 "올해 창간 16주년을 맞는 뉴시스는 국내 최대 민영통신사로서 빅데이터 활성화와 금융업 혁신에 기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대표적 활동으로 코스콤과 협력해 지난 2년간 각고의 노력 끝에 지난달 모바일로 출시한 '빅데이터 주가시세표'를 들 수 있다"며 "빅데이터 주가시세표는 250개 국내 주요 상장 기업에 대한 온라인과 소셜미디어 상에서의 평가를 분석한 시장심리지수"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존 정량적 데이터 분석의 한계를 넘어 개별 기업에 대한 호감 및 투자심리까지 고려한 정성적 데이터 분석의 첫 시도로 향후 주식시장에서 한 단계 진화한 투자 참고지표로 활용될 것"이라며 "주식 시장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 기업과 금융기관에 대한 호감도와 비호감도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지표로도 기능할 수 있다"고 말했다.

lovelypsyche@newsis.com

▶ 뉴시스 빅데이터 MSI 주가시세표 바로가기
▶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