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시아투데이 김보연 기자 = 은행들이 새 정부 코드 맞추기에 여념없는 모습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후보 시절 약속한 공약에 맞춰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과 신규 채용 확대에 나서고 있다. 부실채권 소각 등 서민·중소기업 금융 지원도 부쩍 강화하고 있다.
다만 정부 입김이 지나친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기존 전략과 상충될 가능성이 있어 ‘딜레마’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인력 문제다. 비대면 채널 확대에 나서며 점포, 인력 감축에 나선 은행들이 갑자기 태도를 바꿔 지난해의 2배 수준의 신규 채용에 나서는 등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다.
21일 KB국민은행은 지난달부터 사회적 배려가 필요한 기초생활수급권자, 중증장애인, 70세 이상 노령자 중 연대보증에 따른 장기 연체 채무자의 빚을 최대 95%까지 감면한다고 밝혔다.
역대 정권 중 가장 강력한 취약계층 채무 탕감책을 들고 나오자 국민은행이 가장 빠르게 대처하는 모습이다. 국민은행은 새 정부 출범 후 소멸시효가 완료된 채권을 5년이 되는 시점에 자동 소각하는 시스템을 은행권 최초로 도입한 바 있다. 지난 6월에는 9800억원(9만7000여명) 규모의 채권을 소각했다.
우리은행도 전사적으로 서민·중소기업 금융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새정부가 강조해온 슬로건을 인용해 ‘포용적 금융, 생산적 금융, 신뢰의 금융’ 등 3개의 태스크포스팀(TFT)을 꾸린다는 계획이다. 서민금융 거점점포를 4개에서 33개로 확대해 저소득·저신용자에 대한 서민금융 지원을 강화하고, 성장 잠재력이 있는 중소 창업 벤처기업 지원을 강화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또 ‘비정규직 0’와 ‘일자리 늘리기’에 최대 방점을 둔 새정부 기조에 맞춰가고 있다.
국내 6대은행이 올해 신규 채용하는 인원은 총 2350명으로 전년(1380명) 대비 2배 가까이 늘었다. KB국민은행과 우리은행이 각각 500명으로 가장 많은 인원을 신규 채용한다고 밝힌 가운데 신한은행(450명), 농협은행(400명), KEB하나은행, IBK기업은행(250명) 순이다.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도 빠르게 이뤄지고 있다. 기업은행은 올해 안에 무기계약직 3000여명을 정규직 전환하기로 결정했으며, 신한은행은 올해 상반기 기간제 사무직 인력을 처음으로 정규직으로 채용했다. 씨티은행은 무기계약직인 창구 전담직원과 일반사무 전담직원 약 300명 전원을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키로 했다. 이들은 대졸 학력 신입 정규직 사원과 동일한 직급인 5급으로 전환된다.
다만 비대면 전략 확대에 주력하고 있는 은행들이 오히려 채용 인원을 늘리는 ‘딜레마’에 빠지며 일각에서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이 정부 눈치를 안볼 수는 없겠지만 요새는 과하다는 느낌이 드는 경우가 많다”며 “정부의 눈치를 보며 기존 전략과 맞지 않는 것도 억지로 끼워 맞추고 있는 것이 보기 좋지 않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