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성공하면 여자 매달린다… 학벌ㆍ차별 조장 학용품 인권위 진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광주 시민단체들, 제조업체 4곳 대상… "편견과 혐오 심어줘"

(광주=연합뉴스) 김재선 기자 = '10분만 더 공부하면 남편의 직업이 바뀐다.', '열공해서 성공하면 여자들이 매달린다'….

이처럼 심각한 차별·입시 조장을 담은 내용은 학생들이 사용하는 학용품류에 등장하는 문구다.

'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는 19일 이들 제품을 판매하는 문구류 전문회사 4곳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는 광주 지역 시민단체인 학벌없는 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을 비롯해 광주여성민우회·광주인권지기 활짝·노동당 광주시당·광주녹색당 등이 참여한 연합체다.

연합뉴스

차별·입시조장 요소 담은 문구류. [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 제공=연합뉴스]



이들은 이날 국가인권위원회 광주인권사무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구류 전문회사인 B사 등은 개성 있는 문구와 캐릭터를 활용해 상품을 만들어 온·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고 있다"며 "이들이 판매하는 일부 상품은 심각한 차별·입시조장 요소를 담고 있어 청소년들에게 특정 집단에 대한 편견과 혐오의식을 심어주고 있다"고 진정 배경을 설명했다.

학벌없는사회를 위한 광주시민모임은 2015년과 2016년 2차례에 걸쳐 B사 제품의 판매를 중단할 것을 요구하며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서를 제출했다.

2015년에는 공정거래위원회에 부당한 표시·광고 신고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당시 진정서와 신고서 제출 이후 언론 기사와 누리꾼들의 비판 글이 쏟아지자 B사 대표가 회사 누리집에 해당 상품의 판매를 중지하겠다는 내용의 사과문을 게시했다.

하지만 국가인권위원회가 B사의 사과문 게재와 해당 상품 회수 등을 고려해 별도의 구제조치가 필요하다고 보지 않아 법 규정에 따라 기각 결정을 내렸다.

그 이후 B사는 유사한 형태의 차별·입시조장 상품을 지속해서 개발해 판매하고 있다.

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는 차별·입시조장 상품 판매 현황을 조사한 결과 문구류에서 30여 개의 상품을 적발했다.

그 밖에 결혼정보회사·출판사·의약회사·사설학원·학습지 등의 상품과 광고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혐오문화대응네트워크 관계자는 "이러한 행위는 회사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않은 차별행위"라며 "이번 진정서 제출을 시작으로 1인 시위와 캠페인·패러디물 제작과 전시·민사소송·불매운동 등 다양한 활동을 병행해 이 문제를 해결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kjsun@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