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1 (화)

중국도 필리핀 등 동남아도, 북한 압박 움직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김예진 기자 =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상대적으로 북한에 대해 우호적이었던 국가들도 압박을 가하고 있다.

산케이 신문·교도통신은 10일 중국은행 등 중국의 대형 국영은행이 북한인 명의의 신규 계좌 개설과 기존 계좌를 통한 송금 등 일부 거래를 중단했다고 보도했다.

교도는 거래를 제한한 결과 북한이 중국으로 돈을 보내기 어려워져 중국의 대북 석유 제품 수출이 급감했다고 전했다. 또 대북 제재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아온 중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자금을 차단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섰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거래 제한대상에는 북한 여권 소지자와 중국 주재 북한 당국자와 무역관계자가 포함됐을 공산이 크다. 특히 통신은 이번 중국의 조치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따른 것이 아닌 독자 조치라고 전했다. 북중 접경지역인 지린(吉林)성 옌볜 조선족자치주 옌지(延吉) 등에서는 중국의 4대은행 중 중국은행·중국건설은행·중국농업은행 지점에서 북한인 대상 업무를 중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압박 움직임은 동남아시아 국가들 사이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니혼게이자이 신문(닛케이)의 9일 보도에 따르면 북한의 우호국으로 알려진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프르의 번화가에서, 사실상 북한이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한 레스토랑이 최근 문을 닫았다. 닛케이는 주변 음식점 직원을 인용해 이 레스토랑이 이미 수개월전 폐점했다고 전했다.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이 레스토랑이 폐업한 이유는 말레이시아 정부가 북한인 직원들의 노동허가증을 갱신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움직임이 확산하고 있는 것인지 말레이시아에서는 사라와크주 등에서 1000여명의 북한 노동자가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이들의 수가 급감했다고 신문은 전했다.

말레이시아는 아시아 가운데 북한의 외화벌이 주요 시장으로 꼽히고 있어, 북한에 타격이 될 가능성이 크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전문가 패널은 중국이 올해 2월 북한으로부터 석탄 수입 금지를 발표한 이후 말레이시아가 북한에 석탄을 수출한 것으로 보고있다.

필리핀도 북한을 압박하고 나섰다. 알란 피터 카예타노 필리핀 외무장관은 8일 성 김 필리핀주재 미국대사와 만난 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강력한 대북제재 조치 이행을 위해 북한과의 교역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경제 제재를 포함해 유엔 안보리의 결정을 전면적으로 따르겠다”고 밝히고 로드리고 두테르데 대통령의 지시도 있었다면서, 즉시 대응할 입장을 나타냈다고 마이니치 신문은 전했다. 신문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를 인용해 지난해 북한과 필리핀의 총 무역액은 4497만 달러(약 508억 6100만 원)로 중국, 러시아 등에 이어 전세계에서 5위였다고 전했다.

태국도 가세했다. 태국은 지난해 북한과 총 무역액이 4974만 달러(약 562억 5600만 원)에 달해 필리핀에 앞선 4위를 기록했으나, 태국의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해 1~6월 대북 무역 총액은 99만달러(약 11억 1970만 원)에 그쳤다. 수도 방콕의 한 소식통은 마이니치에 태국이 “(대북) 제재 이행에 제대로 임하고 있다”고 전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