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최저임금·통상임금 등 이슈 쏟아지는데… 납작 엎드린 경총·전경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 통상임금 범위 확대 등 굵직한 경제 이슈가 쏟아지고 있지만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와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지난 23일 경제사회발전 노사정위원장에 민노총 간부 출신인 문성현(65) 전 민노당 대표가 위촉됐다. 노·사 양측의 입장을 조율해야 하는 위원장 역할을 노동 운동가 출신이 맡게 되자 '편향' 논란이 불거졌다. 그러나 경총과 전경련에서는 현재까지도 공식 입장을 전혀 내지 않고 있다.

경총과 전경련은 통상임금 문제에 대해서도 침묵하고 있다. 기아차의 통상임금 1심 선고가 임박해 재계 전체가 재판 결과에 대해 초긴장 상태이다. 두 단체가 아무런 목소리를 못 내자 통상임금 문제의 경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등 자동차업계 단체들이 나서는 상황이다. 경총의 경우 수년 전 작성해놨던 통상임금 보고서 외에는 별다른 분석 자료조차 내놓지 못하고 있다.

최저임금 인상도 상황이 비슷하다. 최저임금위원회의 사용자 위원으로도 참여하고 있는 경총은 올해는 최저임금이 결정된 뒤 입장문 한 건만 내놓았을 뿐이다. 전경련도 대부분 현안에 대해 핵심 간부들이 말을 아끼고 있다. 재계에선 '전경련 패싱(passing·배제)'이라는 말까지 돌고 있다.

두 단체가 몸을 바싹 엎드린 데는 이유가 있다. 전경련은 '최순실 사태' 여파로 존립이 위태로운 상황이고, 경총은 현 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비판했다가 청와대·여당으로부터 '진지한 성찰과 반성이 있어야 한다'는 융단 폭격을 받은 바 있다. 재계 관계자는 "경제단체의 존립 근거라는 게 개별 기업 대신 재계의 대변인 역할을 해줘야 하는데 요즘 그런 역할이 너무 약해져 있다"면서 "정치권도 과도하게 재계 단체들을 억누르는 모습을 피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총 관계자는 "산업재해 인정법 등 일부 이슈에 대해선 나름 목소리를 내고 있는데, 재계에선 아직 부족하다고 보는 것 같다"고 했고, 전경련 관계자는 "지난 3월 발표했던 혁신안도 아직 추진 중이고 공개적으로 입장을 밝히기가 곤란한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곽래건 기자(rae@chosun.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