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듀얼 카메라' 첫 적용한 삼성, 아이폰과 과감히 비교 시연…'카메라 전쟁' 선전 포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삼성전자, 갤노트8과 아이폰7+ 손떨림 방지 기능 비교 실험…"갤노트가 더 선명해"

LG V30·애플 아이폰8 등 하반기 신작 프리미엄 폰 모두 '듀얼 카메라' 탑재

중앙일보

삼성전자는 23일(현지시간) 오전 11시 미국 뉴욕에서 신작 대화면 스마트폰 갤럭시노트8을 공개했다. 색상은 미드나잇 블랙·오키드 그래이·메이플 골드·딥씨 블루 등 총 4종이다. 사진은 딥씨 블루 색상. [사진 삼성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 하반기 출시되는 대화면 프리미엄 스마트폰에선 '듀얼 카메라(렌즈 2개로 사용하는 카메라)' 기술이 치열한 경쟁을 예고하고 있다. 스마트폰 사상 최초로 갤럭시노트8에 '듀얼 카메라'를 장착한 삼성전자는 애플 아이폰7+와 과감히 카메라 기술을 비교 시연하는 등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다.

삼성전자는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갤럭시 언팩 2017' 부대 행사에서 대화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신작 '갤럭시노트8'과 지난해 출시된 애플 아이폰7+에 탑재된 '듀얼 카메라'의 광학 줌 성능을 비교 실험했다.

스마트폰으로 줌 기능을 활용해 사진을 촬영하면 손 떨림으로 인해 사진이 흔들리기 마련. 일정한 진동을 줘 손 떨림을 재현한 실험 공간에 두 스마트폰을 놓고 줌 기능을 사용해 피사체를 촬영한 결과, 갤노트8로 찍은 사진이 아이폰7+보다 더 선명하게 나타났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갤노트8에는 1200만 화소의 광각 카메라와 망원 카메라 2종이 탑재돼 있다"며 "두 카메라 모두 아이폰보다 더 우수한 손 떨림 보정(OIS) 기능이 적용돼 있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가 강조하는 듀얼 카메라의 또 한 가지 기능은 사진에 담으려는 피사체는 선명하게, 배경은 흐리게 해주는 '라이브 포커싱' 기능이다. 광각 카메라로는 전체적인 배경을, 망원 카메라로는 피사체를 나눠 촬영해 이 같은 이미지를 만드는 것이다. 특히 이 기능은 사진을 촬영할 때뿐만 아니라 촬영 후에도 배경의 흐린 정도를 조절해 포커싱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중앙일보

LG전자가 공개한 대화면 프리미엄 신작 스마트폰 'V30'의 초청장. 이 초정장은 렌즈를 상징하는 둥근 원을 표현해 고성능 카메라 기능이 탑재됐음을 암시했다. [사진 LG전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달 30일 신작 프리미엄 대화면 스마트폰 'V30'을 공개하는 LG전자도 듀얼 카메라 기능을 특히 강조하고 있다. 전문가들이 찍은 사진을 선택하면 똑같은 수치의 화이트밸런스·조리갯값 등을 설정해 초보자도 예술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전문가 모드' 기능을 갖추고 있다. V30은 또 화면의 정밀함을 보여주는 화소수도 표준각 1600만 화소, 광각 1300만 화소로 갤노트8보다 앞선다.

다음달 공개 예정인 애플 아이폰8에서도 '듀얼 카메라'의 신기술들이 탑재될 전망이다. 정보기술(IT) 업계에서는 아이폰8은 후방 듀얼 카메라에 3차원(3D) 센서를 탑재해 증강현실(AR) 콘텐트 촬영이 가능한 기술을 선보일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뒤늦게 대열에 합류하면서 '듀얼 카메라'는 전 세계 프리미엄 스마트폰 카메라의 대세가 될 전망이다.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직 애널리틱스(Strategy Analytics)는 글로벌 시장 전체에서 듀얼 카메라 탑재 스마트폰 비중은 지난해 5%에서 올해 11.8%로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2022년에는 전 세계 휴대전화 10대 중 3대가 듀얼 카메라 탑재 제품이 될 것이란 관측이다.

뉴욕=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