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레드라인 발언’ 성토장 된 외통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野 "文대통령 발언 신중히"
康장관 "상황 엄중하단 뜻"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7일 가진 '취임100일 기자회견'에서 이른바 북한 도발의 '레드라인(한계선)'을 명시적으로 밝힌 것과 관련, 야당의원들이 정부 외교안보라인을 상대로 비난을 이어갔다. 문 대통령의 발언이 북한에 대한 경고 메시지이자 우리 정부의 의지라는 외교안보 사령탑의 대답에 야당의원들은 "효과가 있겠느냐"며 질책했다. 여당의원들은 '레드라인이 현실화됐을 경우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않아 불안이 고조된 측면이 있다'고 맞섰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21일 국회에서 열린 외교통일위원회에 참석해 문 대통령의 '레드라인' 발언이 "그만큼 지금 상황이 엄중하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야당의원들은 문 대통령의 안보관을 지적하며 총공세에 나섰다. 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은 "그 엄중함이 현실화됐을 때 강력하게 맞대응할 수 있는 의지를 보여줘야 했다"면서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었는데 우리나라가 조치를 못하면 우리는 북한에 계속 밀리게 된다. 문 대통령이 발언을 신중히 했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다"고 말했다. 서청원 자유한국당 의원은 "문 대통령이 말한 레드라인은 대한민국은 생각하지 않고 미국만 생각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강 장관은 "문 대통령이 국제사회의 의지를 모아 한목소리로 북한이 도발하지 않게 제재하고 압박을 강화하자는 의미를 표명했다고 생각한다"면서 "또 북한과의 대화의 문이 열렸다는 의미를 드러낸 것"이라고 했다.

점점 대두되는 '북·미 협상' 가능성과 관련해서는 우리 정부의 지지 의사가 우회적으로 표명됐다. 북·미 대화를 우리 정부가 지지하는 입장이냐는 이태규 의원의 질문에 강 장관은 "북·미 간 접촉 등 북한과 관련한 모든 사안은 한·미가 긴밀히 공조하고 있다"면서 "물론 북한은 미국과 대화를 원하고 있지만, 미국은 대화를 결정하더라도 우리와 협의하고 임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psy@fnnews.com 박소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