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5 (화)

500년 역사 고흥 분청사기 재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통기법으로 345점 구워내

역사적 가치 재조명 기회
한국일보

전남 고흥군 두원면 운대리 가마터에서 전통기법으로 구워낸 조선시대 덤벙 분청사기. 고흥군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남 고흥군은 국내 최대 분청사기 생산지로 알려진 두원면 운대리 사적지에 500년 전 모습으로 만든 전통 흙가마에서 분청사기 345점을 구워냈다고 13일 밝혔다. 고흥군이 전통기법의 분청사기 생산에 성공함으로써 운대리 가마터와 조선시대 분청사기의 역사적 가치도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

이번에 제작된 덤벙 분청사기 주병 등 작품들은 2일 박병종 군수의 주도로 제례의식을 올린 후 도예 전문 학예연구사와 도예가 등 7명이 5일까지 꼬박 4일 동안 소나무 장작을 이용해 1,280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워졌다. 분청사기 학자인 전 충북대 고고미술사학과 강경숙 교수가 현장자문을 맡았다.

운대리 분청사기 2호 요지는 2011년 11월 사적 제519호로 지정됐으며 2014년 재정비 과정에서 크기를 절반으로 축소한 전통(흙)가마를 재현해 냈다. 500년 전 원형 그대로의 모습으로 만들어 조상의 숨결을 온전히 느낄 수 있는 이 가마는 2호 요지와 똑같은 환경의 자연 경사면에 지어진 반지하식 오름 가마로 길이 13m, 폭 1.6m, 높이 90㎝의 전형적인 조선시대 가마의 모습을 갖췄다.

박병종 군수는 “조선시대 분청사기의 맥을 이어갈 수 있는 불씨가 지펴지고 분청사기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다시 한 번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며 “하반기 개관할 분청문화박물관과 연계해 지역 분청사기를 도예전문가와 국민들에게 널리 알리겠다”고 말했다.

하태민 기자 hamong@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