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화재·사고 등 디지털 스크린으로 한눈에 파악 … ‘워룸’ 구축한 서울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시장실에 대형 디지털 스크린 설치

서울 전역의 재난·교통 상황 등 한 눈에

행정 빅데이터 1000만 건 등 디지털화

중앙일보

박원순 서울시장이 20일 서울시청 6층 시장실에서 벽면에 설치된 디지털 스크린을 소개하고 있다.[사진 서울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원순씨, 재난상황.”

대형 디지털 스크린은 박원순 서울시장의 음성을 인식해 서울 전역의 지도를 화면에 띄웠다. 그 후 강동구 천호동에서 발생한 한 응급 구조 현황을 상세히 알려줬다. 출동시간·출동기관, 환자의 상태까지 표시됐다. 이내 폐쇄회로TV(CCTV) 4대가 촬영한 현장의 영상이 스크린에 등장했다. 이 시스템은 모든 사람의 음성에 반응한다. 하지만 평소 대화에 가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원순씨”라고 말해야 전원이 켜지도록 설정됐다. 서울시 직원들도 "원순씨"라고 말해야 작동시킬 수 있다.

서울시청 6층 시장실 벽면에 디지털 스크린(가로 3.63m, 세로 1.67m)이 설치됐다. 서울의 재난·교통·대기 현황 등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최첨단 시스템이다. 서울시판 ‘워룸(War Room·전략상황실)’이 구축된 셈이다. 음성 인식은 물론 터치와 움직임에도 가동된다.

박 시장은 20일 오후 이 스크린을 직접 공개하면서 “스크린의 이름은 ‘디지털 시민시장실’”이라고 소개했다. “종이(서류)로 운영하던 서울시를 디지털로 운영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이 스크린 안에는 행정 빅데이터 약 1000만 건, 서울시내 CCTV 800여 대의 영상 정보 등이 디지털화 돼 담겨있다.

중앙일보

박원순 서울시장이 20일 서울시청 6층 시장실에서 벽면에 설치된 디지털 스크린을 구동하고 있다.[사진 서울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시민시장실’의 핵심 기능은 재난의 진행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다. 스크린의 메인 화면엔 서울 전역의 지도(‘한눈에 보는 서울’ 코너)가 펼쳐져 있다. 서울시내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 지도에 해당 위치가 빨간 불로 표시된다.

중앙일보

서울시장실에 설치된 디지털 스크린 '디지털 시민시장실' 화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출동 상황 등을 상세히 알려주고, 화재 현장에 설치된 CCTV의 촬영 영상이 스크린에 올라온다. 소방 책임자와 화상전화도 연결된다. 서울시는 이 시스템이 재난 발생시 대응 기동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시장이 현장에 가지 않고도 통제와 지시가 가능하다는 이유에서다.

중앙일보

서울시장실에 설치된 디지털 스크린 '디지털 시민시장실' 화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이 지도를 통해 서울 자치구별 교통상황·대기환경·물가정보 등을 알 수 있다. 광화문역의 일일 승하차 인원수, 중구의 미세먼지 농도, 은평구에서 판매하는 배추의 가격을 알려주는 식이다.

이 스크린의 ‘실시간 도시현황’ 코너에선 이와 같은 서울시내의 정보들을 실시간 숫자로 표시해준다.

박 시장은 이 시스템을 시정업무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서울로 7017’ ‘다시세운 프로젝트’와 같은 서울시 주요사업 26개는 이 시스템을 통해 보고 받는다. 해당 업무의 담당자가 상세 내용 등을 업데이트 하면 시장은 이를 검토한 후 필요하면 화상통화로 회의한다.

‘시정뉴스’ 코너에선 서울시의 민원 창구인 응답소·120다산콜·SNS 등에 올라오는 시민의 민원을 확인할 수 있다.

중앙일보

서울시장실에 설치된 디지털 스크린 '디지털 시민시장실' 화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서울시의 공공데이터를 제공하는 열린데이터광장(data.seoul.go.kr)과 서울시 전역의 CCTV 800여 대를 관리하는 서울시 통합안전상황실과 연동돼 있다. 안정준 서울시 통계데이터담당관은 “이 디지털 스크린은 서울시가 2013년부터 쌓아온 공공데이터 수집 노하우가 집약된 시스템”이라고 소개했다.

‘디지털 시민시장실’은 박 시장이 3년 전 “시정의 모든 부분을 디지털화하고 현장과 직접 소통하고 싶다”고 요청해 이뤄졌다. 박 시장이 휴대하는 태블릿PC에도 이 시스템이 구축돼 있다.

비용은 4억7000만원가량이 들었다. 박 시장은 “디지털 시장실 구축은 세계 최초의 시도일 것 같다”면서 “시 운영과 시민에게 필요한 정보들을 계속해서 업데이트해 나갈 계획이다”고 말했다.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임선영 기자 youngcan@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