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월드피플+] 산꼭대기 학교…학생 1명 위해 매일 절벽 오르는 교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서울신문

해발 1400m 산꼭대기에 있는 학교의 교실. 선생님도 학생도 1명씩이다. (사진=정저우러센)


해발 1400m가 넘는 아찔한 절벽 산 위에 교사 한 명과 학생 한 명이 전부인 초등학교가 있다.

정저우러센(郑州热线)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이 독특한 학교는 절벽에 걸쳐 있는 도로를 뜻하는 ‘과비공루(挂壁公路)’로 유명한 산시성(山西省) 타이항산(太行山) 위에 위치한다. 2층 학교 건물 오른편에는 운동장으로 쓰이는 작은 공간이 있지만, 삼면이 절벽으로 둘러싸였다.

험준한 절벽 마을, 펑순현(平顺县)의 홍티관향(虹梯关乡)의 대다수 젊은이는 도시로 떠나 현재 이곳에 있는 유일한 학교인 시찬(西辿) 초등학교에는 학생이 단 한 명 남았다.

학생을 가르치는 교사 푸겅후(付更虎·62)씨는 단 한 명의 학생을 가르치기 위해 매일 10여km의 산길을 전동차를 타고 오른다. 10km는 그다지 먼 거리가 아니지만, 깎아지른 절벽을 굽이굽이 돌아오려면 전동차로 40분이 족히 걸린다. 눈이 오나 비가 오나 하루도 거르지 않고 이곳을 오르지만, 눈으로 길이 얼어붙으면 생명의 위협을 느낄 정도로 위험하다.
서울신문

교실 유리창에 비친 학교 바깥의 험산준곡의 모습. 처량함을 넘어 신비롭기까지 하다. (사진=정저우러센)


그가 40년 전 첫 교사 발령을 받았던 곳이 바로 이 학교다. 이후 다른 학교에서 교사 생활을 하다 퇴직 후 다시 이곳을 찾았다. 당시 30명에 가까웠던 학생 수가 단 한 명으로 줄어든 모습을 보니 만감이 교차했다.

이 학교의 유일한 학생 스쉐타오(石雪涛)는 올해 8살로 초등 1학년이다. 요즘에는 6살 동생도 아직 입학은 안했지만, 데리고 등교해 함께 수업을 듣는다.
서울신문

요즘엔 그나마 6살 동생이라도 옆에 앉아서 함께 있으니 조금은 더 든든하겠다. 교실 뒷편에 붙여놓은 ‘열심히 공부해서 매일 실력을 쌓자’는 말이 덧없게도 느껴진다. (사진=정저우러센)


두 아이는 이곳에서 어문과 수학을 배울 뿐이지만, 날마다 집에 돌아오면 숙제를 하고, 그림도 그린다. 선생님은 스쉐타오가 가져온 과제물을 꼼꼼히 점검하며, 수정해 준다.

스쉐타오의 부모는 아이를 도시로 보내 친구들도 많이 사귀게 해주고 싶지만, 변변치 않은 살림에 꿈을 접은 지 오래다. 집 안의 가전 도구라고는 TV와 전기밥솥이 전부일 뿐이고, 벽면은 온통 폐휴지로 발라져 있다. 그래도 아이들이 배울 수 있는 학교가 있다는 사실에 감사한 마음이다.

푸 교사의 1년 연봉은 1만 위안(약 163만 원)에 불과하지만, “아무리 가난해도 교육이 가난할 순 없다”라는 말을 실천하기 위해 오늘도 험준한 산길을 오른다.

이종실 상하이(중국)통신원 jongsil74@naver.com



    ▶ [웰 메이드 N],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 [인기 무료만화] [페이스북]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