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권 문제는 공직자비리수사처 공방에 비하면 덜 조명받아온 게 사실이다. 그러나 검찰과 경찰 사이의 관계뿐 아니라 국민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면에서 보면 엄청난 변화를 몰고 올 사안이다. 이제부터라도 검찰개혁 방안으로서만이 아니라 국민의 인권과 편익이란 기준에서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정치권의 논의도 이런 관점에서 본격화해야 한다.
지난 대통령선거 당시 문재인 후보뿐 아니라 주요 5당 후보 모두 검찰 수사권의 경찰 이양을 공약했다. 공수처 설치에 홍준표 후보가 반대 의견을 표시한 것과도 비교된다. 그만큼 정치권의 공감대는 넓다고 봐야 한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들어가면 얘기가 달라진다. 우선 조 수석이 거론했듯이 인권 관점에서 경찰이 수사권을 넘겨받을 준비가 제대로 됐는지는 따져봐야 한다. 또 각종 비리사건에서 보듯이 경찰이 검찰 못지않거나 더하다는 지적을 받아온 것도 사실이다. 이런 취약점에 대한 견제장치나 자정노력 없이 수사권만 넘겼다가는 자칫 국민에게 피해가 고스란히 전가될 수 있다.
기존의 방대한 인력과 체제를 그대로 둔 채 수사권까지 넘겨받으면 경찰 조직이 또 하나의 공룡 기관이 될 수도 있다. 행정경찰과 수사경찰의 분리 또는 광역단체별 자치경찰로의 분리 등 분권화 방안도 함께 검토돼야 한다.
수사권 조정 문제는 결국 법안을 다룰 국회가 나서야 한다. 그 과정에서 검찰과 경찰 등 해당 기관의 의견도 반영해야 하겠으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국민의 인권과 편익이다. 두 기관의 밥그릇 싸움이 되지 않도록 국민들의 논의 참여는 물론 국민 의견과 눈높이가 기준이 돼야 한다.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주주신청]
[▶ 페이스북] [카카오톡] [위코노미] [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