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한전 사업자용 전기차 충전요금제 도입 덕에 민간업체 충전요금 내린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전기차 민간 충전서비스 업계가 충전요금을 인하한다.

종전보다 저렴한 한국전력의 충전사업자용 기업간거래(B2B) 전기요금제 출시가 임박하면서 마진폭이 생긴데 따른 발빠른 대응이다. 초기 전기차 시장부터 민간서비스 업체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지만, 전기차 시장 확대에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가 이달부터 전기차 충전요금을 ㎾h당 313.1원에서 173.8원으로 인하한다. 6월 달 납부하는 이 달분 사용요금부터 일부 소급 적용된다. 이 회사 고객이면 매달 내는 충전요금이 종전과 비교해 절반가량 줄어들 전망이다. 경쟁사인 포스코ICT도 충전요금 인하 검토에 들어갔다. 당장은 아니지만, 시장수요를 지켜보면서 요금인하 적용을 검토한다.

이는 국가 전력판매사업자인 한국전력이 이르면 이달 말 기업간거래(B2B)와 기업소비자간거래(B2C) 등 전기차 충전용 전기요금제 출시를 앞둔 시장 변화다. 요금제가 도입되면 충전사업자가 한전에 지불하는 전기요금은 ㎾h당 100원 이하지만, 일반 전기차 이용자가 내는 충전요금은 환경부와 비슷한 ㎾h당 170원 책정이 유력하다.

결국 지금까지 충전서비스 민간 업체는 국내 최다 공용 충전인프라를 보유한 환경부 충전요금(㎾h당 173원)과 같은 수준에서 경쟁해야 했지만 사업자용 요금제가 생기면서 ㎾h당 70~80원 마진을 붙일 수 있게 됐다. 다만 충전소 부지 확보나 유지보수 등 관리비를 따지면 사업성이 여전히 떨어지는 만큼 포스코ICT 등은 가격인하 결정에 신중한 상황이다.

박규호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대표는 “환경부 급속충전 요금과 동일한 수준의 요금 인하는 사업적 부담이 가중되는 것이지만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속적인 요청으로 인하를 결정했다”며 “전기차 이용자의 요금 부담이 줄면서 전기차 시장과 관련 산업 발전에는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가격인하로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멤버십(서비스명 해피차저) 회원은 자체 충전인프라뿐 아니라 환경부와 한국전력 충전인프라도 같은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회사는 급속충전기 51기를 포함해 제주 등 전국에 111개 충전기를 서비스 중이며, 올해 말까지 420기(급속 120기 포함)를 추가할 방침이다.

박태준 자동차 전문기자 gaius@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