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시진핑, 트럼프에 "북한 대응에 100일 유예기간 달라"...일본 언론 보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한 문제 대응에 100일 달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4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에 대해 미국이 구체적 행동을 취할 때까지 100일간의 ‘유예기간’을 달라고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아사히신문은 미일 양국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지난 4월 6~7일 미·중 정상회담 시 양국이 무역 불균형 해소를 위해 마련하기로 한 ‘100일 계획’과 병행해 안보 분야에서도 이러한 기한을 설정했다고 22일 보도했다. 신문은 그러나 북한이 전날 다시 탄도미사일을 발사함에 따라 이 같은 구상이 어디까지 효과를 낼지는 불투명하다고 전망했다.

신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에서 북한 대외무역의 90%를 차지하는 중국에 경제제재 강화를 요청했다. 여기에 중국이 협력하지 않으면 북한과 거래하는 대규모 금융기관을 포함해 중국 기업들을 제재 대상에 추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 기업이 제재 대상이 될 경우 미국 금융기관 및 기업 등과의 거래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시 주석은 유예기한을 제안했고, 100일간 북한에 대해 강력히 손을 쓰겠다는 생각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올 가을 공산당 대회를 앞둔 중국으로선 미·중관계가 불편한 가운데 중요한 정치 일정을 맞고 싶지 않다는 사정도 있었을 것으로 신문은 추정했다.

신문은 시 주석의 요청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반응을 구체적으로 전하지는 않았으나 두 정상은 북한의 중대 도발 행위가 있을 경우 양국이 각각 독자 제재를 부과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시 주석은 중국 내 기업의 북한 송금 규제와 석유 수출규제 등 독자제재를 검토하고 있음을 시사했다고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4월 말 “중국은 북한 정세와 관련, 우리를 도와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북한도 핵실험을 실시하지 않았다. 미국은 중국이 대북 압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판단, 대화 기조로 전환하고 있다고 신문은 분석했다. 제임스 매티스 미국 국방장관은 지난 19일 북핵 문제와 관련, “만약 군사적 해법으로 간다면 믿기 힘든 규모의 비극이 될 것”이라면서 군사행동에는 소극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하지만 북한이 전날 미사일을 재차 발사한 가운데 100일 계획 기간에 해당하는 7월 독일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맞춰 미·중 정상회담이 이뤄질 가능성도 있어 북한 대응문제가 재차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전망했다.

<도쿄|김진우 특파원 jwkim@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