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김기춘 '우리는 극보수' 블랙리스트 밀어 붙여" 김종덕 증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종덕 전 문화체육부 장관이 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공판 출석을 위해 호송차에서 내려 법정으로 향하고 있다. 2017.5.16/사진=연합뉴스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이 문화·예술계 지원배제명단, 이른바 '블랙리스트'를 보고 받고 "우리는 극보수"라며 원칙대로 밀고 가라고 주문했다는 증언이 나왔다. 김 전 실장이 청와대를 떠난 뒤에도 지원배제 활동이 지속됐다는 증언도 나왔다.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16일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0부(황병헌 부장판사) 심리로 열린 본인과 정관주 전 문체부 차관 등의 공판에서 증인으로 나와 이같이 진술했다.

김 전 장관은 2014년 10월 20일 김 전 실장을 찾아가 '건전 콘텐츠 활성화 태스크포스(TF)' 관련 내용을 보고했다. 해당 내용은 소위 블랙리스트와 관련된 문건이다. 김 전 장관에 따르면 그 자리에서 김 전 실장은 흡족해하며 보고 내용대로 이행하라고 지시했다. 김 전 장관은 "보고서대로 (특정 문화인을) 지원에서 배제할 경우 긁어 부스럼이 될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러나 김 전 실장이 "우리는 그냥 보수가 아니다. 극보수다"라며 "원칙대로 밀고 가라"고 강조했다는 게 김 전 장관의 설명이다.

김 전 실장은 블랙리스트 집행에 소극적이었던 문체부 1급 공무원 3명이 사표를 받을 때도 강경책을 고집한 것으로 조사됐다. 박영수 특별검사팀에 따르면 2014년 청와대 지시로 문체부 1급 공무원 3명의 사직서를 받을 당시 김희범 당시 문체부 차관이 김 전 장관에게 "3명 모두 사표를 받으면 조직의 안정이 저해될 수 있다"고 건의했다. 김 전 장관은 김 전 실장에게 이 같이 보고했으나 "그사람(김 전 차관)도 문체부 소속 공무원이라 어떻게든 식구를 보호하려고 한다. 그렇게 하면 안된다"고 사직서 제출을 강요했다는 게 김 전 장관의 설명이다. 김 전 실장은 김 전 차관에게도 전화해 "사사롭게 일 처리하지 말고 장관 지시를 잘 따르라"고 했다고 김 전 장관은 증언했다.

2015년 2월 김 전 실장이 청와대를 떠나자 김 전 장관은 후임인 이병기 전 비서실장을 만나 문화·예술인에 대한 지원배제 활동의 어려움을 토로했다고 증언했다. 이 전 비서실장 역시 "너무 엄격하게 적용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답했다는 게 김 전 장관의 증언이다.

그런데도 청와대에서 작성한 배제명단이 문체부로 하달되자 김 전 장관은 박민권 전 문체부 1차관을 청와대 정무수석실로 보냈다. 그 자리에서 신동철 전 청와대 비서관은 박 전 차관에게 "강화해도 시원찮을 판에 (블랙리스트를)약화하느냐"고 역정을 냈다고 전했다.

beruf@fnnews.com 이진혁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