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중국은 ‘성형외과’, 일본은 ‘피부과’ 선호···지난해 외국인 환자 36만여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난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 환자가 36만명을 넘어섰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외국인 환자가 2015년보다 23% 증가한 36만4000명으로 집계됐으며, 2009년 이후 누적 환자는 156만명이라고 27일 밝혔다.

경향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적별로는 중국인 환자가 35.1%로 가장 많았고 미국(13.4%), 일본(7.4%), 러시아(7%), 카자흐스탄(4.1%) 등이 뒤를 이었다.

중국인 환자는 전년보다 29% 증가한 12만7000명이었다. 이들의 진료 과목은 성형외과(20%), 내과 통합(14.6%), 피부과(13.5%), 건강검진(9.3%), 정형외과(6.2%) 순이었다. 일본인 환자는 전년보다 41% 증가한 2만7000명으로 집계됐으며, 이들 중 44%가 피부과를 찾았다.

한류의 인기가 높고 경제성장 속도가 빠른 동남아 국가의 환자도 눈에 띄게 늘었다.

베트남 환자는 8700명으로 전년보다 64.5% 증가했으며, 내과나 산부인과를 많이 찾았다. 태국 환자도 전년보다 72% 증가한 4000명이 찾아왔는데, 주로 성형외과 진료를 받았다.

전체 외국인 환자의 진료과목은 내과 통합 8만5000명(20%), 성형외과 4만8000명(11.3%), 피부과 4만7000명(11.1%), 검진센터 3만9000명(9.3%) 순이었다.

진료 수입은 전년보다 29% 증가한 8606억원으로 집계됐으며, 2009년 이후 누적액은 총 3조원이었다. 1인당 평균 진료비는 236만원이었다.

국적별 1인당 평균 진료비가 가장 많은 곳은 아랍에미리트(UAE)로 1194만원을 기록했다. 태국 524만원, 카자흐스탄 417만원, 인도네시아 398만원 순이었다.

평균 진료비가 1억원 이상인 고액 환자는 284명으로 집계됐다.

외국인 환자의 방문 지역은 서울이 59%였다. 서울을 포함한 경기, 인천 등 수도권 비중은 80.3%에서 78.2%로 줄었다.

<홍진수 기자 soo43@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