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日, 北 도발 한고비 넘겼지만 고강도 경계 감시 유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일 中 우다웨이에 '대북 석유수출 금지' 요구 방침

일본은 북한의 추가 도발 위기는 한고비 넘겼지만 여전히 고강도 대북 경계 태세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일본은 북한이 태양절이나 인민군 창건일 6차 핵실험이나 탄도미사일 발사 등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유례없는 대북 경계태세를 유지했습니다.

아베 신조 총리까지 나서서 한반도에서 교전 등 유사 사태가 발생해 피난민이 일본으로 유입할 경우에 선별해서 수용하겠다는 등 막말 수준의 발언까지 했습니다.

이후 일본 정부는 각 지자체에 주민 대피 훈련을 요청했고, 언론은 한국 내 일본인 대피 방안이나 북한이 일본을 겨냥해 미사일을 발사할 경우의 대피 요령을 알리는 등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일본 정부는 예상과 달리 북한이 강원도 원산 일대에서의 대규모 화력훈련 외에 한미일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우려한 만한 도발을 하지 않았지만, 앞으로 언제든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북한이 이번 주말 미국 핵 항모 칼빈슨 전단과 한국 군간 동해에서의 합동훈련, 미 핵잠수함 미시간호의 부산 입항 등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가나스기 겐지 일본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은 기자들에게 "규모의 크고 작음과 관계없이 북한의 도발 행동은 수용할 수 없다고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에서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고 NHK가 전했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 정부는 당분간 북한에 대한 고강도 경계감시태세를 유지하기로 했습니다.

아울러 한국과 일본은 물론 중국과도 북한의 추가 도발 억제를 위해 적극 협조할 방침입니다.

실제 북핵 6자회담 일본 측 수석대표인 가나스기 국장은 도쿄에서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조셉 윤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만난 자리에서 대북 압력 강화에 의견을 모았습니다.

가나스기 국장은 오늘 오후에는 방일 중인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만나 북한의 도발을 차단하기 위해 중국이 대북 압력을 강화해 달라고 요청할 방침입니다.

특히 가나스기 국장은 북한 경제에 영향이 큰 석유 수출 금지도 요청할 방침으로 알려져 중국 측의 반응이 주목됩니다.

☞ 생생하게 듣는다! 대선후보 가상정책배틀
​☞ [Focus] 대선주자 페이스북을 통해 본 숨은 표심
※ ⓒ SBS & SBS콘텐츠허브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