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경기도, 부천 소사지구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승인…구도심 재생 본격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총 사업비 863억원…18개 마중물사업 비롯 32개 단위사업 추진]

머니투데이

노후화 정도가 심해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된 부천시 소사지역에 대한 도시 재생사업이 본격화된다.

경기도는 부천시가 제출한 소사본동·소사본1동 일원 뉴타운 해제지역 도시재생 활성화계획을 최종 승인했다고 25일 밝혔다.

이에 따라 부천시 소사지역에는 2020년까지 5개년에 걸쳐 국비 50억원을 포함한 100억원 규모의 마중물 사업과 정부부처와의 협업사업 35억원, 시 자체 사업 724억원, 민간사업 4억원 등 총 863억원의 예산이 지원된다.

이번 활성화 계획은 성주산을 품은 활기찬 소사마을을 비전으로 시가 실시한 쇠퇴진단 결과와 도시재생대학, 주민공청회 등에서 주민이 제시한 아이디어가 반영됐다고 도는 설명했다.

단위사업으로는 △맞춤형커뮤니티센터 조성 △마을해설사 양성 △예술창작소 조성 △호현로 역사만들기 △마을기업 육성프로그램 등 18개 마중물사업과 부처협업사업 등 총 32개 사업이다.

앞서 경기도는 부천시가 제출한 춘의·소사·고강 등 부천시 구도심 지역에 대한 도시재생 전략계획을 지난해 12월 승인한 바 있다.

도시재생 전략계획은 좁은 도로, 오래된 건물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구도심 지역을 활성화시키는 도시 계획으로 시군이 수립하고 도가 승인한다.

부천시는 전략계획을 통해 춘의·신흥(이상 도시경제기반형) 소사·원미·고강·원종·부천역 (이상 근린재생형) 등 7개 지역을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으로 지정했다. 소사지역은 부천시 도시재생전략계획상 7개 활성화 지역 가운데 1단계에 해당한다.

경기도는 소사지역에 대해 성주산과 국내 최초의 철도인 경인선, 소새울 한마당 축제 등 도시재생을 위한 다양한 지역자산이 자리하고 있어 마을공동체 형성을 위한 도시재생 잠재력이 풍부한 지역으로 평가했다.

모상규 경기도 도시재생과장은 “현재 도시재생 전략계획 수립을 추진 중인 평택, 수원, 안양, 성남시 등도 신속하게 마무리해 쇠퇴지역의 도시기능을 회복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수원=김춘성 기자 kesi@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