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8 (화)

화학사고.테러에 대비한 전문교육 국가표준 개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환경부 산하기관인 화학물질안전원은 화학사고·테러에 대비해 전문교육의 국가표준 개발에 들어간다고 25일 밝혔다. 사업 기간은 4월26일부터 올해 12월 말까지다.

화학물질안전원은 해당 국가표준 개발 사업을 오는 2019년 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 제2생명과학단지에 완료예정인 전문교육 훈련장과 연계할 예정이다.

화학물질 운송차량 전복, 저장탱크 유출, 제조시설 누출 등 다양한 형태의 화학물질 누출사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실습 중심의 과목으로 편성할 계획이다.

또 화학물질 자체의 독성 위험성이 클 경우 실제 훈련 과정의 안전을 위해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기술을 접목한 교육과정도 함께 개발할 방침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전문교육 국가표준 개발 사업은 소방, 경찰, 환경 등 참여 기관 종사자의 다양한 수요를 반영해 모든 기관이 표준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교육훈련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특징”이라며 “교육훈련 지침은 교육 대상자의 역할과 기능에 맞춰 세부 과정을 설계하고, 이론과 실전 교육 형태를 다양화한 뒤 교육 대상자의 만족도와 교육 품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도입될 예정”이라고 주장했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이를 위해 미국, 캐나다 등 북미국가에서 표준화된 ‘유해화학물질(Hazardous material)’을 다루는 프로그램과 국가소방관 전문자격 인증위원회(International Fire Service Accrediation)의 기준을 참고할 예정이다.

화학물질안전원은 전문교육 국가표준에 따른 교육과정을 이수하면 해외에서도 같은 자격을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국제적인 표준화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김균 화학물질안전원장은 “이론과 실습을 병행한 전문교육 국가표준 개발 사업은 화학사고·테러 대응 분야의 훈련 효과를 극대화해 관련 분야 종사자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환경·화공·소방·테러 분야 전문가들은 오는 26일 대전시 유성구 화학물질안전원에서 화학테러·사고 대응자의 수준을 고려한 수요자 맞춤형 교육훈련 모델 개발과 교육과정의 국가표준화 방안을 논의키로 했다.

jjw@fnnews.com 정지우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