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수색 장애 대형구조물도 선체 밖으로 이송…지장물 제거 잰걸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양방향 수색 이뤄져

(목포=연합뉴스) 손상원 김근주 정회성 기자 = 세월호 수색이 진행 중인 25일 전남 목포신항 철재부두에서 유가족, 기자 등 참관인 시선을 잡아끄는 대형구조물이 크레인 고리에 매달려 나왔다.

연합뉴스

세월호 우현 쪽에서 수습된 선내구조물.



작업자 몸집보다 3∼4배 커 보이는 해당 구조물은 현장수습본부가 전날 새로 확보한 5개 진출입구 가운데 우현(옆으로 누운 세월호 상단) 쪽에서 나왔다.

현장수습본부 관계자는 세월호 객실 부분 진출입구 추가 확보로 선체 내부 수색이 위→아래, 좌→우 양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 객실 부분 3∼4층 선수에서 선미 방향으로 지장물을 제거하고 펄을 거둬들이는 작업도 전날보다는 다소 속도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이날 현장에는 전날까지 보이지 않았던 펄 수거 및 지장물 제거용 작업대가 3∼4층 객실 진입로에 추가로 마련돼 있었다.

진흙이 뒤엉킨 구조물들이 작업자의 손에 들려 나왔고, 조명이나 사다리 등 수색에 필요한 도구가 내부로 들어가는 모습도 보였다.

권영빈 선체조사위 상임위원은 유가족 참관인에게 "펄에 각종 세월호 내부 자재가 뼈대처럼 박혀있어 삽 대신 손으로 퍼내는 상황"이라며 "그나마 다행스러운 게 약 한 달 지난 펄도 굳지 않고 잘 세척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세월호 좌현(육상거치된 선체 아래쪽) 진출입구 주변의 작업자들.



권 위원은 인양과정에서 거둔 펄 2천600여 포대 가운데 야적장에 쌓여있는 잔여량을 분리하는 작업이 약 20일 후면 끝날 것으로 내다봤다.

현장수습본부에 따르면 이날까지 인양과정에서 수거한 펄 385포대에 대한 분리 작업이 끝났다.

어제 하루에만 펄 120포대에 대한 세척이 이뤄졌다.

인양과 선내·수중 수색에서 나온 뼛조각은 현재까지 모두 307점(수중수색 20점 포함), 유류품은 253점(17점 인계)이다.

이날 시도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세월호 선체조사위 조타실 진입 조사는 철 구조물 설치가 늦어지면서 26일 오전으로 잠정 연기됐다.

hs@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