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중국과 러시아 사실상 동맹으로 갈 듯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칫 하면 한미일 대 북중러 동맹 구도 될 수도

아시아투데이 홍순도 베이징 특파원=중국과 러시아는 동맹 관계가 아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이런 사실이 무색할 만큼 급속도로 가까워지고 있다. 형식상은 아니나 사실상 동맹국이 됐다고 해도 좋지 않을까 싶다.

이런 단정은 최근 양국의 행보를 보면 과한 관측이라고 하기 힘들다. 양국 관계에 정통한 베이징 소식통의 26일 전언에 따르면 우선 양국 집권당인 공산당과 통합러시아당이 23일 러시아 카잔에서 제6차 중·러 정당 합동대화와 제5차 합동포럼을 개최한 사실을 꼽아야 할 것 같다. 중국 관영 신화(新華)통신의 최근 보도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총서기 겸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이 행사에 약속이나 한 듯 축사를 보내면서 양국의 우정을 지지하기까지 했다.

군사 분야의 협력 행보 역시 양국이 그저 단순하게 관계만 급진전되고 있다고 보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아닌가 보인다. 대표적으로 그동안 연 평균 1회 이상 실시됐던 합동 군사훈련을 꼽을 수 있다. 올해의 경우는 역대 최대 규모의 육상과 해상 훈련이 예정돼 있다. 지난 2월 28일 창완취안(常萬全) 국방부장과 세르게이 쇼이구 국방장관이 이에 대해 합의한 바 있다. 중국이 러시아판 사드로 불리는 방공미사일 시스템 S-400과 4세대 전투기 수호이-35 등의 무기체계 도입을 위해 거액을 쏟아붓고 있는 사실 역시 거론해야 한다. 수호이-35의 경우 지난 해 말 이미 4대가 인도되기도 했다.

아시아투데이

동맹 관계로 접어들고 있는 중국과 러시아의 두 정상 시 총서기 겸 주석과 푸틴 대통령. 올해에도 세 번 정상회담이 예정돼 있다./제공=신화통신.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에도 양국 정상의 만남이 세 차례나 예정돼 있는 현실은 더 말할 필요조차 없다. 신화통신의 25일 보도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이 5월에 먼저 중국을 방문, 시 총서기 겸 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이때 그는 중국이 주도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해상 및 육상 실크로드 구축 프로젝트)와 관련한 역내 정상회의에도 참석해 시 총서기 겸 주석에게 힘을 보탤 것이 확실하다.

7월에는 시 총서기 겸 주석이 답례로 러시아를 찾는다. 그로서는 여섯 번째의 방문이 된다. 9월은 신흥 5개국(BRICS) 정상회의가 다시 푸틴 대통령의 발걸음을 중국으로 향하게 만들 예정으로 있다. 올해에만 세 번이나 조우하게 되는 셈이다. 그야말로 파격이라는 말이 이상하지 않다.

중국과 러시아는 현재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에 대해서도 의견을 같이 하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서는 4월 방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질 시 총서기 겸 주석이 강력하게 이의를 제기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이로 보면 이후 중국이 러시아와 함께 북한을 은근히 두둔하는 방향으로 대북 정책을 전환하지 말라는 법도 없다. 자연스럽게 한·미·일 대 북·중·러의 신냉전 구도가 향후 모습을 드러낼 개연성이 농후해지는 것이다. 동맹으로 흘러가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중·러 관계를 직시하면 이런 우려는 괜한 것이 아닌 것 같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