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책 속으로] 뇌는 또 다른 뇌와 ‘썸’을 즐긴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중앙일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뇌 속에 또 다른 뇌가 있다

장동선 지음

염정용 옮김, 아르테

352쪽, 1만6000원

책의 제목이 내용을 함축한다. 지은이에 따르면 이는 레토릭이 아니고 과학적 사실이다. 나라는 존재, 즉 자아는 개인의 뇌 속에 모두 담겨 있지 않다. 우리의 뇌 안에는 수없이 많은 다른 사람의 뇌가 함께 공존한다. 인간의 뇌가 가장 부지런하게 노력하는 일이 다른 사람을 이해하려는 것이기 때문이다. 지은이는 수많은 과학적인 실험과 연구를 바탕으로 인간의 뇌는 타인을 공감하고 예측하고 소통하기 위해 발달했다고 지적한다.

인간의 뇌는 공동생활을 할 때 최적화하도록 진화해왔다는 이야기다. 인간이 제대로 소통하고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다른 사람의 뇌와 함께 있을 때 끝없는 행복감에 빠지는 뇌과학적인 이유다. 달리 말하면 ‘썸’을 타고 사랑에 빠지는 가장 큰 요인이 공감과 소통이라는 소리다. ‘모태솔로’들은 물론 정치인들도 새겨들어야 할 이야기다.

지은이는 한국에서 고교를 졸업하고 독일과 미국에서 공부한 뒤 독일 막스플랑크 바이오사이버네틱스 연구소에서 사회인지 신경과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평탄한 엘리트 코스로 보이지만 고교 시절은 별명이 ‘자유인’이었을 정도로 반항아였다고 고백한다. 체벌도 그를 바꾸지 못했다. 하지만 당구 큐로 호되게 벌을 내려 별명이 ‘맛세이’였던 고3 담임이 그를 변화로 이끌었다. 한바탕 체벌을 예상했던 지은이는 담임에게 조용히 불려가서 의외의 말을 들었다. “넌 똑똑하고 너만의 생각이 있다. 네게는 아무리 엄하게 벌을 내려도 소용이 없다는 걸 잘 안다. 너를 믿고 끝까지 벌을 내리지 않겠다. 너와 우리 반 모두를 위해 네가 최선을 다하고 나를 실망시키지 않기를 바란다.”

중앙일보

손을 못 쓰는 환자가 생각만으로 음료를 마시게 하는 기계. 뇌의 매커니즘을 이용한다. [사진 북이십일]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 뒤 담임은 다른 학생이 규정을 어기면 벌을 줬지만 지은이에겐 “너를 믿고 있으며 네가 옳다고 생각하는 대로 행동해야 하다”고 상기하는 데 그쳤다. 그 결과 반항아의 삶은 온통 뒤집어졌다. 같은 행동을 했는데 친구들은 벌을 받고 자신은 아무렇지도 않은 상황을 견딜 수 없었다. 그래서 벌 받을 행동을 멀리하게 됐다. 지은이는 당시 자신이 진지하게 받아들여지고 존중 받는다고 느꼈다고 털어놓는다. 공감과 소통, 믿음이 사람을 완전히 바꿔놓았다.

지은이를 이를 바탕으로 나라는 존재가 예전부터 늘 있어왔고 앞으로도 존재할 것이며 이는 나 외에는 누구도 바꿀 수 없다는 믿음이 허깨비에 불과하다고 지적한다. 지금 나를 이루고 있는 자아는 지금 이 순간에만 존재할 뿐이라는 것이다. 우리의 뇌는 매 순간 다른 사람을 이해하면서 새로운 세상을 경험하고 지각하기 때문에 늘 변하게 마련이라는 지적이다. 우리의 뇌의 모양이 굳은 돌조각이 아니라 말랑한 밀가루 반죽과 비슷하다고 설명한다. 바로 뇌의 유연성이다. 사회적 뇌의 유연한 본질은 인생을 바꾸고 세상을 변화시킨다는 지은이의 주장이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S BOX] ‘나 위에 우리’ 목숨까지 내놓는 사회적 뇌
사회적 뇌는 상상을 초월하는 일을 해낸다. 2015년 레바논 베이루트에서 2명이 자폭테러를 벌여 첫째 테러범은 45명을 살해했지만 둘째 테러범은 두 사람의 목숨만 빼앗았다. 한 젊은 가장이 맨몸으로 막았기 때문이다. 이 가장은 생물학적 생존 본능과 정반대로 행동했다.

무엇이 그를 뛰어들게 했을까? 지은이는 이를 믿음으로 설명한다. 젊은 가장이 살아온 문화권은 ‘개인 위에 공동체’ ‘나 위에 우리’라는 가치관을 수 세기에 걸쳐 확립했다. 자신만을 위해 사는 것은 이런 가치를 저버린다는 믿음이 그를 희생의 길에 나서게 했다는 설명이다. 교육과 믿음은 나 자신이라는 한계를 넘어서게 해준다.

지은이는 이런 일이 오로지 인간의 사회적 뇌만이 이룰 수 있는 업적이라고 강조한다. 베트남 참전 예정자 훈련소에서 잘못 떨어진 수류탄을 몸으로 막은 고 강재구 육군 소령이나 베트남 동굴 수색 중 날아온 수류탄에 몸을 던진 고 이인호 해병 소령의 희생도 이런 뇌과학의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채인택 논설위원 ciimccp@joongang.co.kr

채인택 기자 chae.intaek@joongang.co.kr

▶SNS에서 만나는 중앙일보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포스트]

ⓒ중앙일보(http://joongang.co.kr) and JTBC Content Hub Co., Lt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