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4 (월)

검찰 "박 前대통령 조사와 상관없이 기업수사 계속할 것"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최근 SK·롯데 관계자 조사… CJ 측에도 관련 자료 요구

박근혜(65) 전 대통령 소환조사를 마친 검찰은 미르·K스포츠재단에 출연금을 낸 대기업들에 대한 수사를 진행할 방침이라고 22일 밝혔다.

검찰 관계자는 이날 언론브리핑에서 "앞서 박 전 대통령 대면조사와 상관없이 기업들 수사는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며 "최근 SK나 롯데 관계자들을 조사한 것은 그 일환으로 보면 된다"고 했다.

검찰은 박 전 대통령을 조사하기 이틀 전인 지난 19일 장선욱 롯데면세점 대표를 불러 조사했다. 롯데는 미르·K스포츠 재단에 총 45억원을 출연했고, 작년 3월 박 전 대통령과 신동빈 회장이 독대한 이후 K스포츠재단에 70억원을 추가 송금했다. 검찰은 당시 박 전 대통령이 신 회장에게 'K스포츠재단이 추진하는 전국 5대 거점 체육 시설 건립 사업을 지원해달라'고 요구하자 신 회장이 그룹 관계자들에게 이를 챙겨보도록 지시했다는 관련 진술을 확보한 상태다. 검찰은 롯데가 작년 말 면세점 사업권을 따내는 데 박 전 대통령의 지원이 있었는지 조사하고 있다.

검찰은 지난 16~18일 최태원 SK 회장 등 SK 전·현직 고위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했다. SK는 두 재단에 111억원을 출연했다. 지난해 2월 최 회장이 박 전 대통령을 독대한 직후에는 최순실씨 측에서 80억원을 투자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지만 거절했다.

검찰은 최근 CJ 측에 K-컬처벨리 사업과 관련한 자료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K-컬처벨리 사업은 차은택씨가 CJ 측에 투자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진 사업으로 최순실씨가 여기에 개입해 사익을 챙기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앞서 손경식 CJ그룹 회장이 박 전 대통령과 독대하면서 이재현 회장의 사면을 부탁했다는 의혹도 불거졌다.

SK와 롯데, CJ는 박영수 특검팀이 수사 대상으로 삼았다가 '삼성 뇌물 수사'가 장기화하면서 수사하지 못하고 검찰로 넘겼다. 애초 특검이 지난해 10~11월 '최순실 게이트'를 수사했던 검찰에서 넘겨받은 수사 자료가 다시 그대로 검찰로 넘어온 것이다. 그러나 검찰은 이 기업들 관계자들에게도 삼성처럼 뇌물공여 혐의 등을 적용할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이다. 검찰 관계자는 "지금으로선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는 게 중요하고 법리 적용은 그 다음"이라고 했다. 법조계에는 최근 조사받은 기업인들이 '피의자'가 아닌 '참고인'으로 소환됐다는 점 등으로 미뤄 이들이 사법처리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적지 않다.

[박상기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