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검찰, 이번주 내 '구속영장 청구 여부' 결론…전망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오늘(21일) 박 전 대통령의 조사를 마치고 나면 남은 문제는 신병처리 부분입니다. 취재기자와 앞으로의 전망 살펴보겠습니다.

심수미 기자, 다른 거 질문하기 전에 방금 이서준 기자가 지검에서 얘기한 것 중에 의문이 가는 게 있어서요. 같은 법조 출입기자니까 질문할게요. 이원석 특수1부장검사가 8시 40분부터 심문에 들어갔다고 하는데, 지금 20여분 정도 지난 상황이거든요. 근데 1부에서 잠깐 얘기했지만 이원석 특수1부장이 맡은 부분이 뇌물죄인데요. 누차 말씀드렸다시피 혐의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뇌물죄 여부. 그런데 하루가 거의 다 지난 시점에 심문이 들어가서 만일 오늘 자정 전에 귀가시킨다고 했으니까, 아까 얘기한 것처럼 조서를 확인하는 시간을 빼고나면 최소 10시나 10시반 정도에 끝내야한다는 건데 그게 1시간 반이나 2시간 사이에 질문이 가능하겠습니까?

[기자]

물론 이원석 부장검사가 뇌물죄를 집중 수사해온 건 맞습니다만 박근혜 전 대통령과 최순실씨가 공모해서 대기업으로부터 돈을 받는 과정에서 먼저 확인이 돼야 할 부분은 미르와 K스포츠 재단에서의 공모 부분입니다.

최순실씨가 대기업으로부터 돈을 받을 때 미르와 K스포츠 재단 사업을 빌미로 받았거든요. 그렇기 때문에 앞 부분의 조사가 상당히 중요한 토대가 됐던 건 분명한 상황이고요. 이를 토대로 이원석 부장검사의 삼성 승마 부분에 관한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부분인데요.

장담할 수는 없지만 새벽까지 이루어져야 하는 것 아닌가, 지금부터는 사실 현실적으로 너무나 짧은 시간인 건 분명해보입니다.

[앵커]

아까 잠깐 얘기했지만 자정을 넘기는 것을 피의자가 원치않으면 끝내야 한다면서요.

[기자]

사실상 동의를 받아야하는 측면이 있는데요. 다시 오는 것보다 오늘 끝내자는 식으로 설득하게 되면, 침대도 구비되어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3~4시까지는 가능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앵커]

그렇다면 뇌물죄 여부에 대한 수사의 강도라든가 질적 부분은 오늘 자정을 넘기느냐 마느냐에 따라 상당부분 판단해봐야 할 필요가 생기는군요. 아무튼 지금 상황은 그렇습니다. 뇌물죄 여부에 대해 예상보다 늦게 들어간 상황인데요. 그 부분에 대해 브리핑이 전혀 없었기 때문에…. 영장청구 방침에 대해 검찰 내부에서 가닥이 잡혔습니까?

[기자]

검찰은 오늘 조사 내용을 면밀하게 검토해서 이번주 안에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결정할 방침입니다. 늦어도 이번주를 넘기지 않고 결론이 날 텐데요. 검찰 내부에는 청구 가능성이 높다는 분위기입니다.

[앵커]

청구해도 결국 발부되느냐 하는 여부가 남는데요. 아까 서복현 기자와 얘기할 때 변호인측은 검찰 뿐 아니라 법원에 가서 어떻게 될 것이냐에 대해 상당히 신경쓰면서 전략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는 얘기까지 나온 바 있습니다. 전직 대통령 등 다른 요소를 고려하지 않고 혐의점만 따진다면 그렇다는 것이지요?

[기자]

뇌물수수 등 13가지 혐의를 받고 있는 이번 사건의 핵심 피의자인데다가 최순실-안종범-정호성 등 공범, 그리고 뇌물공여자인 이재용 부회장 등 20명 가까이 구속되어있는 상황을 고려하면 영장 청구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영장 사유의 핵심 이유 가운데 또 하나가 증거인멸 가능성인데요, 청와대 민정수석실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대응문건 등 박 전 대통령의 지시로 이뤄진 걸로 보이는 증거인멸 정황이 상당부분 드러난 상황입니다.

[앵커]

여기에 오늘 조사 태도, 그러니까 수사에 순순히 협조하거나 명확한 사실관계를 얼마나 부인하느냐 등이 고려되는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박 전 대통령은 지난해에는 검찰 수사에 대해 "사상누각"이라고 언급한 바 있고, 특검 역시 "거짓으로 쌓아 올린 커다란 산"이라고 강하게 비난했었는데요.

탄핵된 이후, 그러니까 불소추특권을 잃은 다음부터는 "검찰이 지정한 일시에 출석해 성실히 조사를 받겠다"면서 태도를 바꿨습니다.

[앵커]

혐의를 지속적으로 부인하면 할수록 오히려 불리하다, 예를 들면 영장 청구의 명분이 될 수 있다고 판단한 거겠죠.

[기자]

이미 다양한 물증과 진술로 박 전 대통령의 혐의 사실 입증에 검찰은 상당부분 자신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미 지난해 말, 1기 특수본때도 최순실씨와의 공모를 입증할 물증이 "차고 넘친다"고 언급한 바 있는데요.

사실관계가 명백한데도 인정하지 않고 검찰 조사를 "정치적 필요에 의한 것"이라며 비난하고 불응했던 전두환 전 대통령이 하루만에 구속된 전례가 있습니다.

박 전 대통령은 수사에 순순히 협조하면서 전직 대통령으로서 도주 우려가 낮다는 점 등을 계속 어필할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청구를 한다면 언제쯤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까?

[기자]

검찰은 이번주말까지는 오늘의 조사 결과와, 또 박 전 대통령 측의 반응 등을 다각적으로 검토할 것으로 보입니다. 청구를 하더라도 다음주 초로 예상이 되는데요.

검찰은 늦어도 다음달 초에는 박 전 대통령 관련 수사를 마무리지을 계획이기 때문에 일단 구속 상태에서 재판을 하고, 미진한 부분인 우병우 전 수석 수사나 관제데모 지시 의혹 등은 계속 수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1부에서 말씀드린 노무현 전 대통령 수사 당시 상황을 약간 정정하겠습니다. 당시 홍만표 수사기획관과 함께 사진에 찍힌 검사는 이인규 중수부장이 아닌 다른 사람이었고, 홍 변호사는 이와 관련해서 노 전 대통령이 들어오는 모습이 아닌 사진 기자들이 진을 치고 있는 모습이 웃겨보여서 웃었던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습니다.

[앵커]

이인규 중수부장은 아니었다, 명확하게 수정해야 할 것 같고요. 다만 그런 상황에서, 이유야 어찌됐든 웃음을 보였다는 것은 그 당시에 크게 논란이 됐던 것은 맞습니다. 심수미 기자였습니다.

심수미 기자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