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3 (수)

유커 떠난 서울·제주 긴급대책…‘사드 한파’ 막기엔 한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서울시, 1305억원대 특별보증 지원

관광객 다변화 위해 타이·대만 공략

제주, 관광기금 원금 상환 1년 유예

할인행사·중 개별관광객 유치 강화

“기존 관광정책과 비슷해 한계” 지적



21일 오후 서울 중구 명동. 예전 같으면 밀려드는 중국인 관광객들이 거리를 메워 걷기도 힘들었지만, 이날은 중국인 관광객이 한 두명씩 띄엄띄엄 보였다.

중국 정부의 한국 관광상품 판매금지로 직격탄을 맞은 관광시장을 살리기 위해 중국 관광객(유커)이 많이 찾는 서울시와 제주도 등 지방자치단체가 긴급대책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들 대책이 기존 관광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은 수준인 데다 중앙정부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따라 닥친 관광객 급감 사태를 지자체 차원에서 되돌리기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해 서울을 방문한 외국 관광객은 1357만명이고, 중국 관광객은 46.7%(635만명)다.

서울시는 21일 관광업계 자금난 해소를 위한 1305억원대 특별보증, 중국어 관광통역사를 위한 공공일자리 제공 등을 뼈대로 하는 ‘서울관광 4대 특별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7일 박원순 시장 주재로 민관합동 대책회의를 하는 등 관광업계와 유관기관의 의견을 수렴해 마련한 대책이다.

시는 우선 하나·신한은행과 서울신용보증재단이 협약을 맺어 영세 관광업체에 특별보증 1305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보증료 연 1%로, 업체당 보증한도 최대 5억원이다. 시가 서울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에 특별보증하는 기존 정책을 관광업계에 우선 지원하도록 바꾼 것이다. 김재용 서울시 관광정책과장은 “사실 이번에 만든 건 아니지만 마침 어려움을 겪고 있는 관광업체들이 잘 활용하면 도움이 될 것 같아 대책으로 넣었다”고 말했다.

서울시는 유커 일변도의 관광객 다변화를 위해 시장 규모가 크고 성장세가 두드러진 타이, 말레이시아, 대만, 홍콩 등도 적극 공략키로 했다. 이들 지역에서 자유여행 설명회를 하고, 서울 지역에서 동남아권 언어 가이드도 양성한다.

또 국내 관광 활성화를 위해 다른 지자체와 협의를 거쳐 다음달에 비수도권에서 서울을 오가는 버스자유여행 상품도 출시키로 했다. 중국인 관광객이 줄면서 일거리가 사라진 중국어 관광통역사는 공공일자리를 활용해 관광명소나 체험관광상품 통역지원으로 배치한다.

제주도도 이날 긴급 대책을 발표했다. 도는 우선 여행업체를 대상으로 현재 상환 중이거나 거치기간 1년 미만 관광진흥기금의 원금 상황을 1년간 유예키로 했다. 또 300억원의 관광진흥자금 한도 안에서 매출액의 50% 기준으로 업체당 최고 5억원까지 1년 거치 3년 상환기간 조건으로 융자해주기로 했다. 다음달 한달 동안 제주여행초대전을 열어 도내 축제와 연계해 630여개 업체가 참여하는 5~65% 할인행사를 하는 방안도 포함됐다. 직항 정기 항공노선 다변화, 직항 전세기 확충, 일본 및 대만 크루즈 유치 확대, 중국 싼커(개별관광객) 유치 강화, 무슬림관광객 유치를 위한 인프라 개선 등 대책도 내놓았다.

중앙정부 차원의 사드 배치 후폭풍으로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는 상황에 지자체가 내놓는 대책은 한계가 뚜렷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김재용 서울시 과장은 “지자체 차원에서 나름대로 최선의 대책을 모색했다. 중앙정부와 협력해서 필요한 대책을 계속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개별관광객 유치를 위해 비자 발급절차와 면세한도 상향, 사후면세점 즉시환급 제도 개선, 관광시설 입장료 한시 면제 등을 정부에 건의했다. 제주도도 이달 하순께 대만을 오가는 직항 노선 재운항이 확정된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지역 노선은 6월 이후에 추진될 예정인 데다 도 차원의 대책이란 게 기존 관광정책과 크게 다르지 않아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허호준 원낙연 기자 hojoon@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 [주주신청]
[페이스북] [카카오톡] [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