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8 (화)

패션업체들 속속 홈퍼니싱 진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일경제

까스텔바쟉 홈 1호점인 롯데백화점 서울 잠실점 매장. [사진 제공 = 패션그룹형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패션업체들이 경기침체 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홈퍼니싱 시장에 잇달아 진출하고 있다.

H&M과 자라(ZARA) 등 SPA(제조·유통 일괄) 브랜드들이 국내에 홈 제품을 선보인 데 이어 패션그룹형지가 운영하는 까스텔바쟉도 최근 홈 매장을 처음으로 선보이며 경쟁에 합류했다. 소비심리 위축으로 의류 구매는 줄이면서도 나만의 공간을 꾸미는 데는 지출을 마다하지 않는 소비 성향이 뚜렷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스몰 럭셔리' 트렌드가 강해지면서 홈퍼니싱 시장이 활기를 띠고 있다.

'까스텔바쟉 홈'은 기존에 국내에 도입됐던 리빙 제품들의 디자인이 모더니즘에 편중돼 있다는 판단에 따라 화려하고 컬러풀한 제품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나섰다. 레드와 블루 등 원색을 배합한 강렬한 느낌의 침구와 쿠션 등 200여 가지 스타일을 선보였다.

배경일 까스텔바쟉 홈 담당 상무는 "까스텔바쟉은 프랑스에서 아트워크를 들여오는데 이를 의류에만 적용하는 것이 아쉽다는 생각에 홈 제품군으로 영역을 확대했다"면서 "집 안에서도 갤러리에 있는 것처럼 예술성 있는 패턴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고 설명했다.

까스텔바쟉은 후발주자인 만큼 프리미엄 전략으로 차별화를 꾀했다. 올해 매장을 10개만 내고 당분간 프랜차이즈도 모집하지 않을 생각이다. 제품 평균 가격대는 100만원 정도로 기존 브랜드보다 몇 배 비싸다. 배 상무는 "국내 고객들이 해외여행을 가면 국내에서 살 수 없는 화려한 패턴의 홈 제품을 많이 산다"면서 "까스텔바쟉이 유럽 감성을 토대로 공략하면 승산이 있다"고 말했다. 3~4년 안에 중국에 이어 싱가포르, 홍콩 등 해외시장에도 역으로 진출할 예정이다.

의류업체 LF가 운영하는 헤지스도 지난해 하반기 헤지스홈을 선보였다. 남성복이나 여성복 등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토털 패션 브랜드의 정체성이 강해 홈 제품으로 외연을 확장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 LF가 직접 제작·유통하지 않고 전문업체와 라이선스 계약을 통해 품질 유지에 초점을 맞췄다.

LF 관계자는 "전문업체에 라이선스를 주는 것이 브랜드의 이미지도 끌어올릴 수 있다고 판단했다"면서 "소비자 반응이 좋아 현재 8개인 매장을 올해는 더 늘리고 기존 침구류에서 잠옷이나 라운지웨어 등 의류, 담요 등으로 품목도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패션업체 슈페리어는 프랑스 패션브랜드 '마틴싯봉'의 외연을 확장한 리빙 브랜드 '마틴싯봉리빙'을 2015년 말 선보였다.

H&M과 자라 등은 부담 없는 가격에 다양한 제품 수로 젊은 층을 공략하고 있다. 이불과 베개 커버를 싸게는 2만원대에도 구매할 수 있어 기분에 따라 인테리어를 쉽게 바꿀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자라홈은 지난해 국내에 플래그십 스토어를 열었다. H&M보다는 가격대가 다소 비싸 침대 리넨이 5만~10만원대 후반이다. 세트로 구비하면 가격이 더 올라간다.

삼성패션연구소에 따르면 홈퍼니싱 시장은 2015년 12조5000억원 규모에서 2023년에는 18조원까지 팽창할 전망이다. 삼성패션연구소 관계자는 "집에 있는 것 자체가 하나의 놀이가 되는 '홈이코노미'가 강세를 띠면서 시장이 성장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 <용어 설명>

▷ 홈퍼니싱(home furnishing) : 침구나 카펫, 벽지, 조명, 가구 등 다양한 소품으로 집 안을 꾸미는 것을 말한다.

[강다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