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3 (목)

인구 믿고 밀어붙이는 중국, '양극화'가 발목잡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소득불평등 '지니계수' 악화 가속화…시장 확대 예상에 못 미칠 듯 ]

머니투데이

주한미군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에 대한 중국 정부의 보복이 롯데그룹 식음료 계열사로도 번지기 시작했다. / 사진=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구 15억명의 거대시장, 1인당 GDP(국내총생산) 8261달러, 여전히 6%대를 유지하는 경제성장률. 중국은 기업들에 '마르지 않는 샘'과 같은 존재다. 인구 1000분의1만 잡아도 웬만한 나라 인구만큼의 소비자를 확보한다. 그래서 글로벌 기업들은 중국 정부가 각종 규제와 장벽을 설치해도 중국 시장 진출에 상당히 적극적이다.

중국의 '오만한 태도'는 한국을 향한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겉으로는 자유무역을 천명하면서 자본유출 금지를 위한 각종 규제, 비관세 진입장벽 확대 등의 조치를 하는 '언행불일치'가 나타나는 이유기도 하다.

하지만 이같은 중국의 '배짱'이 미래에는 가능하기 어려울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소득불평등이 심화하면서 중국 내 시장이 생각보다 확대되기 어려울 것이란 이유에서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잠시 줄었던 중국의 소득격차가 다시 벌어지고 있다. 중국의 지니계수는 2009년에서 2015년 사이 평균 0.4%포인트씩 하락했지만 지난해에만 0.3%포인트 상승했다. 지니계수는 1이면 완전한 불평등을 뜻한다. 2009년 49.1%에서 2015년 46.2%를 기록해 최저점을 찍었다. 2016년 46.5%로 올랐다.

반면 중국 경제매체인 '후룬 리포트'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억만장자 수는 2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같은 경제지표는 사회에서 다양한 징후로 나타나고 있다. 농어촌에 고립된 '화난 중국 남성'들이 대표적이다. 도시에서 경제 부흥이 본격화하면서 농어촌지역의 경제와 격차가 확대됐고 이에 따른 사회 불만도 점차 늘어나는 상황이다. 중국 공산당도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있으며 사회 안정과 공정한 분배를 주요 과제로 삼고 있다.

전반적인 1인당 소득 성장 둔화는 글로벌 기업들의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을 축소시킨다. 얌차이나, 코카콜라 같은 식음료 유통업체들이 대표적이다. 이미 정부 감시와 규제로 경영활동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 소비자 증가마저 여의치 않은 까닭이다.

사치재에 주력하는 기업들은 입장이 조금 다를 수 있다. 명품, 여행, 부동산 등 산업에는 중국 경제 성장 속 불평등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애플 또한 소비층을 확대하는 전략보다 프리미엄 상품을 특정 소비층에 판매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도 있다.

이미영 기자 mylee@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