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ET투자뉴스]전자결제주 테마 vs 중저가화장품주 테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전자신문

구성하고 있는 종목들이 최근 동시에 하락한 테마들 중 안정성(부채비율 기준)의 측면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두 테마에 대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항목들을 살펴 아래에 그 내용을 담아 보았다.
전자결제주테마중저가화장품주테마
종목명등락율종목명등락율
NHN한국사이버결제0.38%에이블씨엔씨0.46%
KG이니시스0%코리아나-1.29%
KG모빌리언스-0.43%LG생활건강-2.51%


[테마 차트분석]

20일 동안의 테마들의 주가 움직임을 비교했을 때 전자결제주 테마와 중저가화장품주 테마가 중장기에서 확실한 방향성을 보여주고 있지 않다.추세를 길게봤을 때는 유사한 모습을 하고 있는데, 두가지 테마들 전부 횡보하는 모습이 길어지고 있다. 반면, 추세를 짧게 봤을 때는 전자결제주 테마가 횡보하는 모습이 계속되고 있고, 중저가화장품주 테마는 최근 하락세에서 상승세로 급변하고 있다. 20일 이격도 측면에서 두 테마 모두 정상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있다.


[수급주체 선호도]

최근 20일 동안 수급적인 움직임을 종합했을 때 두 테마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순매수 정도가 크지않아 한 쪽을 선호한다고 말하기는 힘든 상황이다. 중저가화장품주 테마 내 종목 전체의 시가총액 대비 누적 순매수금액을 구해보면 외국인이 총 0.86%를 매수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나 크지는 않다.


[테마 거래비중]

테마들의 매매정도를 확인해보면 외국인의 기관은 중저가화장품주 테마에 대한 비중은 큰 것으로 관찰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전자결제주 테마에 대해서는 거래량이 크지 않은 모습이었다.
선호도거래비중
기관외국인기관외국인
전자결제주테마-0.010.093.05%6.44%
중저가화장품주테마-0.440.8616.25%63.99%
※ 개인의 거래비중 = 100 - (기관+외국인 거래비중)


[테마 재무분석]

전자신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성장성, 안정성, 수익성은 각각 매출액증가율, 부채비율, ROE 기준임


증시분석 전문기자 로봇 ET etbot@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