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공공 SaaS 시대 열린다...정부 이용·촉진 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신문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전자신문이 주관하는 '2024 공공 SaaS 도입 성공전략 콘퍼런스'가 21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렸다. 김은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본부장이 '혁신의 물결을 타라 : 공공부문의 SaaS 활용 전략'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김민수기자 mskim@etnew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정부가 공공부문의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이용 촉진을 위해 개발·검증 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법제도 개선에 주력한다. 인공지능(AI) 디지털교과서 사업 등을 발판으로 수년 내 공공 SaaS 시장이 본격 개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은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본부장은 지난 21일 강남 코엑스에서 개최한 '2024 공공 SaaS 성공전략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이 같은 상황을 전했다.

김 본부장은 “올해 공공부문에서 이용 가능한 SaaS 개발·검증 지원사업에 160억원을 투입했고 내년에도 사업을 이어갈 계획”이라면서 “공공에서 사용가능한 SaaS가 많아질수록 도입·활용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세계는 이미 공공부문 SaaS 도입이 활발하다. 미국, 캐나다, 영국, 싱가포르 등 주요국이 공공과 지방자치단체에서 SaaS를 도입해 업무를 혁신하고 비용을 절감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NIA도 공공 SaaS 확산을 위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SaaS △상호 호환·운용 가능한 SaaS △공공 클라우드보안인증(CSAP) 인증 SaaS △유통 레디 디지털서비스 등 클라우드 지원 체계를 만들었다.

김 본부장은 “공공부문에서 이용가능한 SaaS가 아직 부족한 만큼 SaaS를 제대로 만들고 공공 고객이 잘 활용하도록 지원해 진정한 공공 SaaS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면서 “공공 SaaS 관련 법·제도와 예산지침도 개선해 공공 담당자가 SaaS를 쉽고 빠르게 도입하도록 환경을 지속 조성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NIA와 전자신문이 공동 주관한 컨퍼런스에는 500여명의 공공과 클라우드 산업 관계자가 참여해 공공 SaaS 시장을 조망하고 트렌드를 공유했다.

이큐포올, 케이스마텍, SK렌터카, 휴스테이션, 심플랫폼, 씨앤에프시스템 등 국내 공공 SaaS 대표 기업이 참여해 주요 공공 도입 성공 사례 발표를 진행했다.

공공이 쉽게 SaaS를 도입하도록 실무 내용을 담은 '공공부문 SaaS 이용 가이드라인' 사안을 발표하는 등 실무 핵심 정보를 공개했다.

이상민 과기정통부 과장은 “가이드라인에는 각 기관이 SaaS 도입 시 준수해야할 규정부터 디지털서비스 전문계약제도처럼 SaaS를 쉽게 도입하도록 도와주는 제도까지 포함해 전주기에 걸쳐 필요한 사항이 담겼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 과장은 “관계부처와 공공기관, 업계와 함께 공공 부문 클라우드 도입·확산을 위해 고민하고 정책·제도적 개선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