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7.02 (화)

미래부 "스타트업 투자 이어가야"…창조경제혁신센터, 앞날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메트로신문사

창조경제혁신센터 성과 인포그래픽. / 미래창조과학부


"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등 글로벌 시장은 이미 미래 성장 돌파구인 '창업 전쟁' 중이다. 창업 시도자들, 일반 국민들도 창업에 도전할 수 있다는 시각을 심어주기 위해 창업허브 거점으로 창조경제센터 기능은 지속돼야 한다."(홍남기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암초를 겪은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내년에도 명맥을 유지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오히려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올해 예산을 319억원에서 내년에는 118억원 늘어난 437억원으로 책정해 지속 운영에 대한 의지를 보였다. 다만, 서울과 전남센터의 지방비 확보를 아직까지 하지 못한 점과 정권 교체 등 불안정한 정국 등은 변수로 지적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9일 '2016년 창조경제혁신센터 성과발표'를 통해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창업허브 역할을 수행했다고 발표했다.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보육한 스타트업은 지난해 말 578개에서 이달 1635개로 늘었다. 스타트업 투자유치액도 1267억원에서 이달 4271억원으로 세 배 가량 늘었다. 혁신센터 내 고용존을 통해서는 취업연계 3182명, 인력양성 1만415명의 일자리 성과를 거뒀다. 보육기업 매출은 지난해 337억원에서 2511억원을 기록했다. 정부는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중소기업과 지역 특화산업의 육성이 가속화되고 있다고 평했다.

미래부 홍남기 제1차관은 "최근 국정상황과 국회 예산 확보 과정에서 창조경제와 혁신센터에 대해 우려와 지적이 있었다"며 "미래를 위해 창업과 혁신작업이 지속되고 관련 예산도 확보해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그간 불거진 혁신센터 존폐 여부에 대한 논란에 선을 그었다.

정부는 혁신센터 보육기업 중 매출확대 투자유치 글로벌 진출 아이디어 사업화 등 분야별로 대표 성과사례 165개를 창업동력 성공사례로 꼽았다.

대표적으로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의 '247코리아'는 센터에 ICT형 호신용 스마트폰 케이스 아이디어 제안 이후 화웨이, 버라이즌 등과 수출계약을 진행, 매출 100억원의 기업으로 성장이 예상된다.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의 보육기업인 '크레모텍' 또한 휴대용 스마트폰 빔을 통해 미국 유통사와 1000만 달러 수출 계약을 맺었다.

미래부는 내년에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스타트업이 발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를 위해 미래부는 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에 민간 참여를 확대하고, 특화사업에 강점을 지닌 전담기관을 보완할 계획이다. 혁신센터 운영에서 전담기업이 하는 일은 멘토링과 기술지원 외에 크게 재정지원, 투자유치, 판로지원 등이다.

가령 한진그룹이 운영하는 인천센터에는 KT가 지원에 가세해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하는 보육기업 지원을 보완한다. 현대중공업이 전담하는 울산센터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가, GS그룹의 전남센터에는 한국전력이 각각 추가 지원을 맡는다. 창조경제혁신센터 지역특화사업은 해외 진출로 연계한다.

하지만 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한 우려의 시선은 여전하다.

특히 서울과 전남 혁신센터의 경우 내년 지방비 지원 예산 책정 여부가 불분명하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달 10일 내년 시 예산을 센터에 배정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올해 서울 혁신센터의 운영 예산은 국비 30억850만원, 지방비 20억원 등 총 50억850만원이었다. 전남 혁신센터 역시 내년 지방비 예산이 전액 삭감됐다. 지방비가 책정되지 않으면, 센터 운영에 차질이 있을 수 있다.

홍남기 차관은 이에 대해 서울시에 지방비 예산을 책정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했다고 말했다. 홍 차관은 "서울시의 최종 결정을 보고 지방비 책정이 안 된다면, 별도 재원 대책을 마련해 부족한 부분을 채워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 운영에 지장 없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에 대해서도 "추경(추가경정예산)을 통해 지방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방비가 확보되지 않을 경우도 대비해 혁신센터가 문을 닫거나 유치된 보육기업의 이동이 없도록 조치를 취하겠다는 방침이다.

최순실 국정 농단 사태로 인한 '창조경제'라는 타이틀에 대한 국민들의 거부감도 장애물로 꼽힌다. 하지만 미래부는 혁신센터 이름 변경 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했다.

김나인 기자 silkni@metroseoul.co.kr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문의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